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주민의 평생학습환경에 대한 KAP 분석

이용수 544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손지향 김진화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21권 제2호, 45~7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사회는 전국적으로 절반이 넘는 지자체가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되어, 주민이 생활 속에서 경험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평생학습환경을 조성해왔다. 이와 관련하여 지역주민이 평생학습환경에 대해 어느 정도의 지식, 태도, 실천을 나타내고 있는가에 대한 실증적인 조사연구가 미비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환경에 대한 지역주민의 KAP(지식, 태도, 실천)수준을 측정하고, 관련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지자체에서 실효성 있는 평생학습정책을 추진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총 444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중다회귀분석과 다변량 분산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평생학습환경에 대한 지역주민의 KAP 영역 중에서 태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지식과 실천은 부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둘째, 평생학습환경 중에서 대학평생교육원, 평생교육기관, 문화센터, 학점은행제, 평생학습강좌에 대한 지식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평생학습환경에 대한 태도수준은 평균 보다 높았다. 실천수준은 평생학습강좌의 경우에만 보통수준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평생학습환경에 대한 실천수준은 지식수준이 태도수준 보다 영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개별 환경요소의 KAP 수준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확인된 것은 평생학습 관련변인들이 인구통계학적 변인 보다 많았으며, 이 중에서 설명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변인은 평생학습 참여경험이었다. 이렇게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평생학습환경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지역주민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국가와 지자체에서 평생학습정책 및 사업을 추진할 때 평생학습환경의 KAP 수준을 고려하여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을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ly in Korean society, more than half of local autonomy governments had been selected as lifelong learning city and they has built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s for local residents. There had been little the related empirical survey research on analyzing the level of knowledge, attitude, practice toward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in Korea.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local residents’ KAP levels of lifelong environments, to analyze theirs statistical influence of the related variables and to draw the efficacy implications for further implementation of lifelong learning policy in terms of national and local autonomy government. The data was collected by KAP survey from the residents of 16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questionnaire was been verified statisticall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hroughout the process of pre-test survey. The main statistical techniques were applied to 444 useful data by t-test, MANOVA,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ocal residents’ attitude levels of the KAP on the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was the highest more than the knowledge levels and practice level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dents need to be provide firstly the related knowledge on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s more than to stress on the positive attitudes to the residents for facilitating lifelong learning practice. Third, the following variables of local residents ha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KAP levels of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s: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number of participating institutions, learning expense, and reasons for not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learning, the explanation ability. Base on the abov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the knowledge on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continuously local residents and the lifelong learning policy project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consider the residents’ KAP levels on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facilitating better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지향,김진화. (2015).지역주민의 평생학습환경에 대한 KAP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21 (2), 45-71

MLA

손지향,김진화. "지역주민의 평생학습환경에 대한 KAP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21.2(2015): 45-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