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브랜드 사전 선호와 제시 속성 유형에 따른 신제품의 비교 광고 효과

이용수 390

영문명
Comparative Advertising Strategies for New Product:Effects of Consumers' Prior Brand Preferences and Attribute Characteristics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남아영 Nam, Ah Young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33권 제2호, 1~8쪽, 전체 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사전 선호 유무와 제시 속성 유형에 따른 신제품의 비교 광고 효과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브랜드에 대한 사전 선호가 있는 소비자에게는 바람직한 속성을 제시한 신제품의 비교 광고가 수단적 속성을 제시한 신제품의 비교 광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제품 태도를 보일 것이고, 브랜드에 대한 사전 선호가 없는 소비자에게는 수단적 속성을 제시한 신제품의 비교 광고가 바람직한 속성을 제시한 신제품의 비교 광고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제품 태도를 보일 것이라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브랜드 사전 선호: 브랜드 사전 선호 없음 vs. 브랜드 사전 선호 있음) × 2(제시 속성 유형: 수단적 속성 vs. 바람직한 속성) 요인설계(2×2 Factorial Design) 방안을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였다. 연구 결과 이론적 근거로 수립된 가설은 지지가 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사실을 요약 할 수 있다. 이미 브랜드에 대한 사전 선호를 구축하고 있는 소비자는 제품이 소비자에게 가치를 줄 수 있는 바람직한 속성을 비교 광고에서 강조하여 제시는 하는 것이 수단적 속성을 강조하여 제시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제품태도를 보였다. 반대로 브랜드에 대한 사전 선호가 없는 소비자는 제품을 획득하는 수단인 수단적 속성을 비교 광고에서 강조하여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속성을 강조하여 제시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제품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신제품의 비교 광고 전략에서 표적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의 유무에 따른 신제품의 속성 제시 방법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advertising effects based on consumers' prior brand preferences and attribute characteristics in comparative advertising of new product.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for the consumers with prior brand preference, Desirable Attributes Presentation would have more positive effects than Feasible Attributes Presentation on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new product in the comparative advertising. Meanwhile, for the consumers without prior brand preference, Feasible Attributes Presentation would be better in persuading them. Suggested and tested in an experimental situation with 2x2(prior brand preferences X attribute characteristics) to 159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pports the theoretical statement and presents the conclusions as follows. For participants with prior brand preference, desirable attribute presentation of in the comparative advertising of new product was more effective than feasible attribute presentation. This group demonstrated the better attitude toward the new product. In contrast, participants without prior brand preference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 when feasible attribute presentation, which is the method of getting new product was provided rather than desirable attribute presentation was offered. Possible academic as well as manageri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is study were discussed further.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과 가설 설정
III. 연구방법
IV. 분석 및 결과
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아영,Nam, Ah Young. (2015).브랜드 사전 선호와 제시 속성 유형에 따른 신제품의 비교 광고 효과. 상품학연구, 33 (2), 1-8

MLA

남아영,Nam, Ah Young. "브랜드 사전 선호와 제시 속성 유형에 따른 신제품의 비교 광고 효과." 상품학연구, 33.2(2015): 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