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방공무원의 직무별 외상 후 스트레스

이용수 386

영문명
Posttraumatic Stress by Work in Firefighters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백미례 Baek, Mi-Lye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9권3호, 59~66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의 직무형태별 외상 후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업무부담감을 알아보고 직무별 고위험군을 확인 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는 C도에 근무하는 소방대원 중 구급 96명, 구조 및 화재진압 85명, 기관 83명인 총 264 명이 수집되었다. SPSS WIN 14.0 program을 이용하여 총 22문항으로 구성된 외상 후 스트레스 검사 도구 (IES-R), 20문항으로 최은숙(2000)이 수정하여 개발한 업무 부담감 측정도구와 오진환(2006)의 연구에서 수정보완 한 사회적지지도구로 분석하였다. 직무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의 결과는 나이, 결혼, 학력, 직급, 재직기간이 세 직무집단 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별 외상 후 스트레스는 구조 및 화재 진압에서 가장 높았으며 세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별 세 변수와의 상관관계에서 구조 직무군에서 업무부담감(r=.317, p<0.01)이 많을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는 높았고, 구급 직무군에서는 사회적 지지(r=-.331, p<0.01)가 낮을수록, 업무부담감(r=.522 p<0.001)이 많을 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았고, 기관 직무군에서는 업무부담감(r=.454, p<0.01)이 많을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고위험군에 속한 군은 구조 및 화재 진압 군에서는 51명(60%) 구급은 53명(55.2%), 기관은 38명(45.8%)으로 전체 264명 중 142명(54%)이었고 직무별 외상 후 스트레스 고위험군에 영향 주는 변수로는 구조 및 화재 진압군은 요구조자 위험을 경험시 느끼는 충격이었으며(odds ratio=1.216, 95% 신뢰구간: 1.068-1.383) 구급직무군은 업무부담감과(odds ratio=1.100, 95% 신뢰구간: 1.043-1.159) 재직기간(odds ratio= 1.010, 95% 신뢰구간 1.001-1.018)으로 나타났고 기관 직무군에서는 요구조자의 위험을 경험시 느끼는 충격(odds ratio=1.178, 95% 신뢰구간: 1.010-1.373), 나이(odds ratio=1.129, 95% 신뢰구간: 1.020-1.249), 업무부담감(odds ratio= 1.103, 95% 신뢰구간: 1.034-1.177)이었다.

영문 초록

To investigate a posttraumatic stress, social support and work burden and to identify high risk group and related factors which were exerted influence on posttraumatic stress of firefighters. Data were gathered from total 264 firefighters consisting of 85 fire distinguishers & rescue workers, 96 emergency medical personnel and 83 in ambulance & fire truck drivers in C province and were analyzed 22 items by IES-R, 20 work burden items by Choi(2000), 8 social support items by Oh(2006) using SPSSWIN 14.0 program. Posttraumatic stress of general characteristics by work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marriage status, education, position, office duration, mobilization frequency and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Posttraumatic stress w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3 groups and fire distinguishers & rescue workers is the highest group. Posttraumatic stress was correlated with work burden(r=.317, p<0.01) for fire distinguishers & rescue workers, social support(r=-.331, p<0.01) and work burden(r=.522 p<0.001) for emergency medical personnel and work burden(r=.454, p<0.01) for ambulance & fire truck drivers. The high risk groups are fire distinguishers & rescue workers(60%), emergency medical personnel(55.2%)and ambulance & fire truck drivers(45.8%). Related factors are the experience seeing victim`s danger for fire distinguishers & rescue workers(odds ratio=1.216, 95% confidence interval:1.068-1.383), and are work burden(odds ratio=1.100, 95% confidence interval:1.043-1.159) and office duration(odds ratio=1.010, 95% confidence interval 1.001-1.018) for emergency medical personnel, and are the experience seeing victim`s danger(odds ratio=1.178, 95% confidence interval:1.010-1.373), age(odds ratio=1.129, 95%confidence interval:1.020-1.249), work burden(odds ratio=1.103, 95% confidence interval:1.034-1.177) for ambulance & fire truck driver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미례,Baek, Mi-Lye,. (2009).소방공무원의 직무별 외상 후 스트레스.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9 (3), 59-66

MLA

백미례,Baek, Mi-Lye,. "소방공무원의 직무별 외상 후 스트레스."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9.3(2009): 59-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