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4 지방선거 결과 분석을 통한 정치분야 여성대표성 제고 방안 모색

이용수 45

영문명
Measures to Enhance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2014 Local Election Outcomes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김원홍(Won Hong Kim) 김인순(In Soon Kim) 김은주(Eun Ju Kim)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4 연구보고서(수시과제) 8, 1~147쪽, 전체 14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20,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우리나라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은 그간 여성계와 정치권, 남녀유권자의 변화 등에 따라 2014년 7월 현재 국회의원 49명(16.3%), 광역자치단체장 0명(0%), 기초자치단체장 9명(4.0%), 광역의회의원 113명(14.3%), 기초의회의원 732명(25.3%)이나, 여전히 임계치인 여성의원 30%에는 못 미치는 상황임. 따라서 각급 선거결과 분석을 통한 여성의 대표성 확대를 위한 꾸준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됨.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정당공천제 폐지가 화두였던 2014년도 지방선거에서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과 관련하여 후보자의 제1관문인 공천유형과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특히 이번 선거에서 부각된 경선이라는 공천유형과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함. ○ 이 과정에 나타난 경선의 문제점을 조사분석 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각급 선거에서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를 위한 개선방향과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함.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 1) 남녀유권자, 2014년 지방선거 결과 및 여성계 활동 고찰 ○ 남녀유권자 비율 및 특성 ○ 2014년 지방선거와 여성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진출 현황, 정당별 여성공천 및 당선현황, 2014년 지방선거 지방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장 여성의원 경력분석 ○ 여성계 활동 내용 분석

영문 초록

In spite of changes in the women's community, political circles, and men and women voters, Korean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still falls short of the critical value of 30 percent. As of July 2014, Korea had 49 women in the National Assembly (16.3%), no head of provincial governments (0%), 9 heads of local governments (4.0%), 113 women in provincial assemblies (14.3%), and 732 women in local assemblies (25.3%). Therefore, this situation requires the country to make continuous policy efforts to enhance women's represent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lection outcomes at various levels. In the 2014 local elections, the abolition of nomination of the political party was the topic of conversation and the nomination type of contest emerged as an alternative.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nomination types of candidates as the first gateway to the elections and the expansion of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in the local elections, particularly, between the nomination type of contest and expansion of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The study also aimed to survey and analyze problems of contest revealed in the election process, and seek measures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the system to enhance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in elections at various levels. Both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conducted contest to strengthen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but the study showed the contest acted unfavorably toward women candidates regardless of the political parties. First, women candidates with relatively weak organization preferred the method of public opinion polls in the contest. However, this method did not actually have positive impact on the contest due to the bia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opinion survey agencies and conducting the opinion polls. Second, the overall process of contest--from deciding the methods of contest, selecting the poll survey agencies, and performing the surveys--was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regional lawmakers and chairpersons of party councils. Third, more than anything else, the bonus point system for women should be reinforced in conducting the contest on a full-scale. We suggested the following measures to reinforce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① as a strategy of equal awareness of both genders, conduct education of equal participation of both genders in politics, ② as a strategy of gender quota system, mandatorily allocate 30 percent of the seats to women in the provincial and local assemblies and local governments, ③ as a strategy of equal number of both genders, select both genders together, nominate both genders in equal number, and perform the contest with both genders together, and ④ as a strategy to expand women's participation, give the central party leadership the authority to coordinate nominations and reinforce education of women politicians at the political parties to increase the number of potential women candidates.

목차

발간사
연구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Ⅳ. 여성후보 경선 참여현황 및 문제점 분석
Ⅴ.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강화방안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원홍(Won Hong Kim),김인순(In Soon Kim),김은주(Eun Ju Kim). (2014).2014 지방선거 결과 분석을 통한 정치분야 여성대표성 제고 방안 모색.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4 (50-8), 1-147

MLA

김원홍(Won Hong Kim),김인순(In Soon Kim),김은주(Eun Ju Kim). "2014 지방선거 결과 분석을 통한 정치분야 여성대표성 제고 방안 모색."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4.50-8(2014): 1-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