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과 세대의 정치경제

이용수 90

영문명
Political Economy of Gender and Generation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저자명
이우진(Woo jin Lee)
간행물 정보
『재정학연구』제7권 제4호, 1~40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 우리는 2007년 이래 있었던 두 개의 대통령 선거(2007, 2012)와 두 개의 국회의원 선거(2008, 2012)에 대한 여론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성(gender)과 세대(generation)가 우리나라 유권자들의 투표행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사용된 자료는 동아시아 연구원-SBS-중앙일보-한국리서치가 공동으로 조사한 KEPS(Korean Election Panel Studies) 이다. 특히 세대변수의 효과가 연령효과(age effect)에 기인한 것인지 또래집단효과(cohort effect)에 기인한 것인지 판별하기 위하여 우리는 4개의 선거를 개별적으로 분석하였을 뿐 아니라 집적(pooling)하는 방식으로도 분석하였다. 성 변수는 개별선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집적자료를 분석한 곳에서는 유의성을 띄었다. 하지만 종교 변수나 정책에 선호에 대한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추가하자 성 변수는 통계적 유의성을 상실하였을 뿐 아니라, 어떤 경우에는 계수의 부호가 반대로 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성 변수는 그 자체로 중요하다기보다는 종교성이나 정책선호의 성간 격차(gender gap)를 통해 투표행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정책선호의 성간 격차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선별복지 대 보편복지에 대한 태도인데 여성이 남성보다 선별복지를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다. 세대변수의 효과는 연령효과와 또래집단효과가 동시에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가 소유 주택에의 거주여부가 보수적 투표패턴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점,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전ㆍ월세보다는 자가 소유 주택에 거주할 확률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정치에서 나타나는 세대간 격차(generation gap)은 단순한 세대간 사회문화적 차이(또래 문화)에 기인한 정치사회학적 균열이라기보다는 부동산자산을 둘러싼 경제적 이해관계의 차이를 일정정도 반영한 경제적 균열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generation, and the voting pattern among Korean voters during the period of 2007-2012. We use the Korean Election Panel Studies, compiled by EAI-SBS-Joongang Ilbo-Korea Research, for the two presidential elections (2007 and 2012) and the two parliamentary elections (2008 and 2012). In studying the role of generation in explaining the voting pattern, we need to identify the age effect and the cohort effect separately; for that, we analyze the four elections not only individually but also by pooling them together. Our analysis shows that the voting pattern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following variables: gender, generation, religion, and house ownership. Levels of income and education a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contrast with the female voters in some advanced democracies, such as the US and the UK, women are more likely to vote conservatively than men in Korea. The gender variable, however, seems to affect the voting pattern not directly through the gender issues, but through the channel of religiosity (women are more religious than men) and of attitude toward welfare programs (women are less likely to favor universal welfare programs than men). We find that the aged are more likely to vote conservatively than the young. This generation gap is driven by both the age and the cohort effects. The generation gap in the voting pattern is, however, not just due to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To some extent, it reflects conflicting economic interests among different age groups, such as those regarding housing price. Those who own houses are more likely to vote conservatively than those who do not own, and the aged are more likely to own houses than the young.

목차

논문초록
Ⅰ. 서론
Ⅱ. 사용 자료 및 분석방법
Ⅲ. 예비적 분석
Ⅳ. 투표패턴에 대한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Ⅴ. 정책이슈들과 투표패턴: 2012년 총선과 2007대선의 경우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우진(Woo jin Lee). (2014).성과 세대의 정치경제. 재정학연구, 7 (4), 1-40

MLA

이우진(Woo jin Lee). "성과 세대의 정치경제." 재정학연구, 7.4(2014): 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