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령 임산부의 임신결과 및 정책지원 방안

이용수 227

영문명
Maternal Age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 Korea: A Comprehensive Approach to Prenatal Care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김동식(Dong Sik Kim) 김영택(Young Taek Kim) 김태희(Tae Hee Kim) 김상미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1 연구보고서 6, 1~394쪽, 전체 39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40,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 및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면서 결혼과 출산을 연기하는 여성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2010년 현재 초혼 평균 연령은 28.9세, 초산 평균 연령은 30.1세임. 최근 10년 동안(2000-2010년)의 20-29세 출산모의 비율은 2000년 63.7%에서 2010년 36.6%로 27.1%p 감소한 반면, 30세 이상은 2000년 35.6%에서 2010년 62.8%로 27.2%p 증가함. 특히, 35세 이상의 출산모 비율은 2000년 6.7%에서 2010년 17.1%로 거의 2.5배 급증함. ○ 이상과 같이 여성의 만혼(late marriage)과 노산(late childbirth) 현상은 생물학적으로 임신과 출산이 가능한 가임기간이 줄어들고 있음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여성이 평생 동안 낳을 수 있는 자녀의 수(합계출산율)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임. ○ 이로 인해 오늘날 출산의 양(quantity)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늘어나고 있는 반면, 고령 임산부의 임신결과인 출산의 질(quality)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임. ○ 국내외 선행연구에 따르면, 30-40대의 고령 임산부는 20대의 젊은 임산부에 비해 미숙아, 저체중아 및 선천성이상아 등 고위험 신생아를 출산할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음. 게다가 고령 임산부는 임신ㆍ출산 관련 합병증 이환율과 제왕절개시술율 및 자연유산과 사산 등의 임신소모율도 젊은 임산부보다 높아 적절한 검사 및 진료 부재 시 임산부 본인과 태아 혹은 태어난 신생아의 생명도 위협받을 확률이 높음. ○ 이상과 같이 최근 35세 이상 고령 임산부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임신ㆍ출산 관련 질환 이환율 및 출생아의 건강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통계청(2010.8.30)은 이들을 정부와 사회의 관심이 필요한 새로운 정책 소비 계층인 폴리슈머(polisumer)로 선정함. ○ 한편, 최근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미숙아, 저체중아 등 불량한 임신결과(adverse pregnancy outcomes)에 대한 임산부의 고 연령이 지닌 생물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임신 전과 임신 중의 검진/진료, 사회경제적 지위, 심리상태, 불안감, 생활사건, 사회관계 및 거주환경 등 산전 의료이용행태 및 사회환경적 특성 역시 중요한 위험요인(risk factors)임을 지적하고 있음. 이는 다시 말해서, 산전 지원정책은 고 연령이 지닌 불이익을 완화하여, 궁극적으로 임신결과의 질을 개선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함. ○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행 임신ㆍ출산 관련 지원정책은 일부 산전 정책을 제외하고는 대다수가 출산이 이루어진 이후 지원되는 산후 정책이기 때문에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지향하는 것이라고는 볼 수 없음. 최근 보건복지부의 연구결과(박문일 등, 2005)에 따르면, 고령 임산부 10명 중 약 7명은 출산 자녀의 건강 문제에 대해 걱정을 하고 있었고, 정부의 의료서비스 지원에 있어 가장 우선적인 시기에 대해서도 10명 중 약 7명이 '산전'이라고 응답함.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 임산부의 임신결과 실태와 그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고령 임산부의 건강 증진과 임신결과의 질 개선을 지원하기 위한 산전정책 수립 시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생산하고, 관련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통해 현행 임신ㆍ출산 지원정책의 개선 및 신규 지원정책을 발굴하는데 있음.

영문 초록

As the rates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such as preterm birth and low birth weight, among advanced maternal age have increased steadily, its quality has also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the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Korea. However, although, from a prevention perspective, prenatal policies are more important than postnatal poli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pregnancy outcomes, Korean government has more focused on the latter than on the former. To find out a comprehensive approach to prenatal care interventions to improve pregnancy outcomes for advanced maternal age at higher risk of preterm and low birth weight, this study was to 1) review the current national policies for supporting pregnancy and childbirth by dividing into two periods, prenatal and postnatal, 2)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dverse pregnancy outcomes and maternal age and its difference in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SES), 3) investigate the effect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on infant mortality according to maternal age and parental SES, 4) evaluate the associations of multiple social medical behaviors and experiences in advanced maternal age during pre-pregnancy and pregnancy with preterm and low birth weight, 5) parse out the current obstetric emergency medical service of Korea and its problems, and 6) ask ten professionals about necessity and feasibility of prenatal interven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regnancy outcomes. Some of the key findings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we divided the current national policies for supporting pregnancy and childbirth into prenatal period and postnatal period, Korea has a large number of postnatal policies compared to prenatal policies. Indeed, prenatal policy programmes are mostly limited to a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iron supplements and leave, which have known as critical contributors for improving pregnancy outcomes. However, there is not any prenatal policy programmes for advanced maternal age at a great risk for having preterm birth and low birth weight. Furthermore, unlike Australia, Germany, England and Sweden, Korea have not dealt with consultants and treatment of mental disorders, relationships with husband and parents or parent-in-law, home visiting service, risk assesment and nutrition service during pregnancy as important prenatal programmes in social medical perspectives. Second, the rates of preterm, low birth weight,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large for gestational age (LGA),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IUGR) have increased steadily as pregnant women's age advances. Of interest is that the rates of these adverse pregnancy outcomes have continually elevated in old pregnant women over 30, even in young pregnant women under 30. Particularly, the gap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between old and young pregnant women has become narrow in recent years. However, its gap has considerably grown according to paternal and maternal educational level, even adjusting for maternal age, birth order, multiple birth and occupational status. Third, infant mortality rate has decreased in recent years. Nonetheless, infant mortality is still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dverse pregnancy outcomes. However, as presented in the second main results of this study, the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infant mortality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has weaken when considering parental SES, especially parental educational attainment, even after adjusting for maternal age, birth order and multiple birth. Indeed, the parental education - infant mortality gradient has widen steadily. The above second and third findings were analyzed with using the Current Population Survey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orth, we asked for what general mothers who gave a birth in the last three years and in their 30s and early 40s did and/or experienced during the recent pre-pregnancy and pregnancy periods. As a consequence, Those who took iron supplements and prenatal check-u

목차

발간사
연구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임신ㆍ출산 관련 법률 및 지원사업 현황
Ⅳ. 임신결과 추이 및 위험요인 분석
Ⅴ. 영아사망 추이 및 위험요인 분석
Ⅵ. 산과 응급전원과 합병증 관리 실태 및 관련 의료체계 문제점
Ⅶ. 미숙아ㆍ저체중아 출산과 산전 의료이용행태 및 사회환경적 특성 분석
Ⅷ. 산전 지원 서비스 이용실태 및 요구도 분석
Ⅸ. 산전 지원사업 관련 전문가 면접조사 분석
Ⅹ. 임신결과 질 향상을 위한 정책지원 방안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식(Dong Sik Kim),김영택(Young Taek Kim),김태희(Tae Hee Kim),김상미. (2011).고령 임산부의 임신결과 및 정책지원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1 (6), 1-394

MLA

김동식(Dong Sik Kim),김영택(Young Taek Kim),김태희(Tae Hee Kim),김상미. "고령 임산부의 임신결과 및 정책지원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1.6(2011): 1-3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