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매체융합 환경에서 여성의 매체ㆍ정보이용과 생산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이용수 69

영문명
Women's Use and Production of Information in the Age of Media Convergence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이수연(Soo Yeon Lee) 안상수(Sang Su Ahn) 강혜란(Hye Ran Kang) 김보연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3 연구보고서 20, 1~404쪽, 전체 40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0.31
40,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매체 환경에서 매체ㆍ정보 접근, 이용 및 생산에 있어 여성의 특성 및 젠더 차이를 조사하고 그것과 여성의 연령, 학력, 소득, 직업 등 인구학적 변수와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양성 간, 그리고 한성 내에 정보 격차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구체적 양상은 무엇인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또한 여성의 매체ㆍ정보 접근, 이용 및 콘텐츠 생산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제도 개선 및 정책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2. 연구 내용 가. 새로운 매체 환경의 개념화와 여성과의 관계 나. 성별 정보 기기 접근 및 소유 현황과 차이 다. 성별 매체 이용 현황과 차이 라. 매체 유용성/효용성 지각과 장애요인 바. 정보 이용 성별 차이의 미래 추세 사. 여성의 성별 매체ㆍ정보 접근, 이용 및 콘텐츠 생산 활성화를 위한 방안 3. 연구 방법 가. 문헌연구 및 관련 이론 검토 나. 기존 통계 수집 및 재분석 다. 설문조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대면면접조사로서 2013년 5월 1일 현재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지역) 가구에 거주하는 만 15세 이상 69세 미만의 가구원 중 2013년 3월 31일 주민등록인구현황에 따라 성별, 연령별, 권역별 인구구성비에 맞게 무작위 추출한 2,8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리서치에서 2013년 5월 29일-6월 30일까지 수행하였다. 라. 델파이 전문가 조사 및 회의 매체 융합 환경에서 여성의 정보 이용과 생산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및 제도개선안을 도출하고자 방송 정책, 인터넷 정책, 콘텐츠 정책, 여성 정책, 그리고 보편적 서비스 정책 분야에서 10명의 응답자를 선정하였다. 전문가의 성비는 여성:남성이 6:4이다. 델파이 조사는 3차에 걸쳐 실시하였는데 1차 조사는 전문가들로 하여금 여성의 정보 이용 및 생산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자유롭게 제안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에서 나온 의견을 유목화 하여 각 범주별로 13~16개, 전체 총 98개의 문항으로 만들었다. 3차 조사는 2차 조사에서 5명 이상이 중요하지 않다고 답한 문항을 제외하고 84개의 문항으로 질문지를 만들었다. 각 문항에 대해 동의/비동의 여부를 표시하고 동의한 문항에 대해서는 범주 안에 서 우선 순위를 매기도록 하였다. Ⅱ. 매체융합과 여성 1. 매체융합의 의미와 여성의 현실 젠더는 전통적으로 정보 이용과 생산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였다. 매체융합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기존의 젠더구조가 지속되는지 아니면 개선 혹은 악화되는지를 보는 것은 매체융합의 의미만큼 중요한 것이다. 미디어를 통해, 그리고 미디어에 있어 평등과 자유가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한다면 여성에게 있어 매체융합은 기회 요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여성은 다른 새로운 행위자들과 함께 유튜브나 블로그 같은 매체를 통해 풀뿌리 미디어 생산에 참여하고 트위터 같은 매체를 통해 정치적 담론 생산에 참여하고 다양한 사람들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사회의 성역할 고정관념은 여전히 여성의 미디어 이용과 생산에 장애가 될 수 있다. 무엇보다 여성성역할 고정관념이 여성으로 하여금 정보에의 접근과 이용을 제한할 수 있으며 정치적 논쟁을 비롯한 온라인에서 정보 생산에 있어서도 참여에 장애조건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여성의 온라인 참여의 기회가 늘어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기존의 성별 고정관념과 여성에 대한 사회적 제약이 여전히 존재하는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여성의 정보이용과 생산 현황을 구체적으로 밝혀내어 어떤 점에서 지원이 필요한지, 어떤 점에서 보호가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점을 장려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Media convergence has caused a radical change in people's use of media and information and created an environment that could be conductive to both widening and narrowing gender information divide. Since media convergence ha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media and information, it is critical to support women to participate in the digital world on the equal terms with 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women's use and production of information, especially in comparison to men an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ach gender and also to particular socio-demographic groups within the gender.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at delineating the situation of gender information divide in the South Korean society at this point. We operationalize digital divide into the three categories of access, use and participation. Access refers to the access to digital technologies and apparatuses such as computer, internet and service, etc. Use means width and depth of utilizing digital technologies and infrastructure affected by digital competences, frequencies and kinds of activities, and motivation for and interest in the use. Finally, participation refers to creation and diffusion of digital contents and also participation in civic and political networking through digital media.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the gender information divide resides in the area of access and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women owns less information technology and create less contents and participate in civil and political networking in a lesser degree. We suggest the policy goals to remedy the gender gap as the creation of gender equal information environment, in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in creating information contents,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women-friendly contents, increase in women'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the media, and reach to internation standards in all areas of information. We also propose a list of the short, medium, and long-term policy projects.

목차

발간사
연구요약
Ⅰ. 서론
Ⅱ. 매체융합과 여성
Ⅲ. 매체융합 환경에서 여성의 정보이용 및 생산 현황 실태조사 결과
Ⅳ. 델파이 조사
Ⅴ.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연(Soo Yeon Lee),안상수(Sang Su Ahn),강혜란(Hye Ran Kang),김보연. (2013).매체융합 환경에서 여성의 매체ㆍ정보이용과 생산 현황 및 활성화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3 (20), 1-404

MLA

이수연(Soo Yeon Lee),안상수(Sang Su Ahn),강혜란(Hye Ran Kang),김보연. "매체융합 환경에서 여성의 매체ㆍ정보이용과 생산 현황 및 활성화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3.20(2013): 1-4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