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댐 붕괴에 의한 댐 하류지역의 홍수범람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55

영문명
A Study on Flood Impact upon the Downstream Area of A river by Dam Break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김대희(Dae Hee Kim) 장동우(Dong Woo Jang) 박효선(Hyo Seon Park) 최계운(Gye Woon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2호, 117~132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2.28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홍수 및 가뭄의 발생 빈도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이상기후의 발생으로 인한 집중호우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제방의 월류, 수공구조물의 파괴, 저류지의 침수 등 다양한 홍수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전북 및 전남지역의 경우 최근 기록적인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있으나, 댐이 건설된 이후 댐 붕괴위험에 대한 연구 및 A 지역 강 본류의 홍수범람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능최대강수량 발생 시 A댐의 가상 댐 붕괴를 모의하여 붕괴지속시간에 대한 첨두홍수량을 산정하고, MIKE FLOOD 모형을 이용하여 붕괴지속시간별 A 댐의 하류지역인 B, C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범람시간, 범람양상 및 침수면적을 모의하였다. A강 본류의 제방여유고를 분석한 결과, A강 상류의 산지지역을 제외하고, 대부분 계획홍수위 및 기존의 제방고보다 높은 수위가 발생하였다. B지역은 제방 월류 수위가 최대 8.80m 까지 발생하였고, C지역은 제방 월류 수위가 최대 2.77m 까지 발생하였다. A 댐 붕괴에 따른 댐 하류부 B와 C지역의 침수발생시점, 최대 침수심 및 홍수범람도를 제공하여 향후 A 유역의 홍수 예ㆍ경보 및 방재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se days, drought and flood occurs more frequently throughout the world due to an unusual exchange in the weather. As the localized torrential rainfall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flood occurrence such as river flood, bank decay, reservoir destruction also increased due to worn out or impairment of the hydraulic structures caused by flood damage. Especially, there have been several historic localized torrential rainfall in Chullabuk-do and Chullanam-do, there is no enough research done about the risk of the A dam decay after its construction nor the flood-risk mapping of main A river. Therefore, in this research, postulated dam failure of A dam during maximum possible precipitation is proposed and investigated in order to calculate not only the peak flood for the continuous collapse time, but also the flooding hour, flooding type and flooded area extent that hourly influences B county, C county by using the MIKE FLOOD model. In analyzing the receptive capacity of the embankment in the main stream of the A River, except the mountainous region in its upstream, the receptive capacity of the embankment is higher than the planned flooding level and the existing embankment height, the embankment water level in the B region occurred up 8.80m in maximum, the embankment water level in the C region occurred up 2.27m in maximum. By using the flooding occurrence point, the maximum flooding depth, the flood graph of time and season, of the B and the C region to be caused by the breaking of the A river, the forecast and alarm and disaster prevention for the flood of the A river basin in the future should be planned.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분석 모형의 선정 및 모델 구축
Ⅲ. 대상유역의 홍수범람분석
Ⅳ.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희(Dae Hee Kim),장동우(Dong Woo Jang),박효선(Hyo Seon Park),최계운(Gye Woon Choi). (2014).댐 붕괴에 의한 댐 하류지역의 홍수범람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0 (2), 117-132

MLA

김대희(Dae Hee Kim),장동우(Dong Woo Jang),박효선(Hyo Seon Park),최계운(Gye Woon Choi). "댐 붕괴에 의한 댐 하류지역의 홍수범람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0.2(2014): 117-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