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구 형태가 식품 산업별 음식물비 소비지출패턴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02

영문명
The Effect of Household Demographic Trend on Food Expenditure Pattern
발행기관
한국소비문화학회
저자명
이성림(Lee, Seonglim)
간행물 정보
『소비문화연구』제17권 제3호, 85~104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인 독신 가구와 2인 가구가 증가하고, 가구원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한국 가구 형태의 변화가 음식물 소비지출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2012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가구 형태와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1차, 2차, 3차 산업별 음식물비 지출 비중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가계생산이론이 제시하는 바와 같이, 노인 독신과 노인 부부, 성인미혼자녀 가구, 여성 가구주가구에서 가계생산 시간과 기술이 요구되는 1차 산업 농축수산물 소비지출 비중이 크고, 가계생산 시간과 기술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는 젊은 독신 가구는 3차 외식 서비스 지출 비중이 높다. 따라서 은퇴자 가구의 증가는 농축수산물 수요를 어느 정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젊은 독신 및 부부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외식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영유아 자녀 가구에서 2차 제조식품의 비중 크게 나타났다. 저출산의 영향으로 제조식품의 주요 수요층인 영유아 자녀 가구의 비중은 줄어들고, 수요가 작은 노인 및 젊은 독신 가구의 비중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현재의 인구 변화는 제조식품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제조식품지출 비중이 감소하고, 독립적인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결과로부터 경제수준이 향상될수록 제조식품에 대한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넷째, 가계생산 규모의 경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가구원수가 감소할수록 외식지출 비중은 증가하고, 농축수산물과 제조식품에 대한 지출은 감소하는 관계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recent demographic changes in Korean households including increasing number of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and reducing household size on food consumption pattern. Using the data from the 2012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oportion of food expenditures spent on the three food categories produced by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y sector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lderly single, household with an adult unmarried child, and female headed households spent more proportion of the food expenditures on the farm and aquatic products which required more household production time and skill, while young single and young couple only households spent more on food away from home compared to other household typ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creasing retired households would be related with increasing demand for farm and aquatic products, and the demand for food away home would be increased with increasing number of young single and young couple only households. Second, households with an infant and a preschooler spent more, but elderly and young single households spent less on the manufactured food compared to other household typ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low fertility rate and recent demographic trend of aging and single life might have a negative effect on demand for the manufactured food. Third, as household income increased, the proportion of food expenditure that spent on the manufactured food decreased, which suggested that demand for manufactured food might be reduced with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living. Forth, household size, which reflected economy of scale of the household production, was found to be negatively related with food away from home and positively related with farm and aquatic products and manufactured foo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림(Lee, Seonglim). (2014).가구 형태가 식품 산업별 음식물비 소비지출패턴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17 (3), 85-104

MLA

이성림(Lee, Seonglim). "가구 형태가 식품 산업별 음식물비 소비지출패턴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17.3(2014): 85-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