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시 1인 가구의 주거환경만족 영향요인 연구

이용수 1089

영문명
Analysis on Affecting Factors for the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of One-person Households in Seoul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권세연(Se-Yun Kwon) 박환용(Hwan-Yong Park)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住宅硏究 第22卷 第1號, 77~104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2.28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 한국의 주택정책은 가족 중심의 일반가구를 대상으로 전개되어온 것이 사실이지만, 최근의 인구주택총조사에 의하면 소형가구(1인 및 2인 가구)의 증가 추세가 뚜렷하다. 특히, 청년층의 취업난 가중과 만혼에 따른 독신 증가, 중ㆍ장년층의 이혼과 사별 등의 사유로 1인 가구의 비중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1인 가구는 전국적으로 일반가구의 23.9%를 차지하고 서울시의 경우 24.4%에 달하고 있으며, 대개 가구주 본인의 소득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어 생활비 조달과 주택문제 해결에 일정한 한계가 있다. 주택이 필요한 수량은 인구수 보다는 가구 수의 증가와 비례해서 증가하기 때문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서울시 1인 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는 2.82로서 지역별, 연령대별, 소득계층별로 편차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거환경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선형회귀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주택만족도와 주택여부, 문화시설접근만족도, 출퇴근시간만족도, 치안문제 만족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를 연령대 및 소득계층별로 분석해보면 결과는 유사하지만 미세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저소득 60대 이상의 경우 주택만족도와 치안문제만족도가 유의미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1인 가구의 주택자체에 대한 정책적 배려, 연령대 및 소득계층별로 차별화된 정책 수단, 주거환경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계층에 대한 추가적인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factors for the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affecting one-person households in Seoul. The proportion of single households in Seoul is 24.4% in 2010 and it is expected to be increased continuously. Housing demand is increased by the number of households, rather than the number of population. The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index of single households in Seoul is 2.82(out of 4), and it shows deviation in various regions, by age groups and by income bracke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is statistically proved that the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is closely concerned with housing satisfaction, housing type, accessibility to the cultural facilities, commuting time and public security, but in analysis between by age groups and by income bracket the result shows slight difference. For instance, it is proved that housing satisfaction and public securit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ow-income over 60's group. To improve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for single households, it can be introduced to build more suitable homes, to adapt different policy means for the various age and income groups, and to concern policy concentration for low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group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1인 가구의 공간분포와 주거환경만족도
Ⅳ. 1인 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세연(Se-Yun Kwon),박환용(Hwan-Yong Park). (2014).서울시 1인 가구의 주거환경만족 영향요인 연구. 주택연구, 22 (1), 77-104

MLA

권세연(Se-Yun Kwon),박환용(Hwan-Yong Park). "서울시 1인 가구의 주거환경만족 영향요인 연구." 주택연구, 22.1(2014): 77-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