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금천구 1ㆍ2인가구의 소형주택 선택요인 분석
이용수 155
- 영문명
- Analysis on 1ㆍ2 Person Household Selection Factor of Small Houses in Geumcheon-Gu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오주용(Oh, Ju-Yong) 유선종(Yoo, Seon-Jong) 김영근(Kim, Young-Geun)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1권 제2호 (통권 제21호), 233~247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Recent Korean women social participation, a single generation of growth,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job, aging, economic deprivation caused by the breakup of families, delayed age of marriage, and acetic acid, the differentiation of furniture, furniture of all. Allowed to move according to the order of as 1ㆍ2 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constantly, and let the population decline can be advanced for the time being still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and these changes in population and household structure of the new changes in the real estate market has been heralded.
The government of the 1ㆍ2 compared to the demand of households in 2009, and Urban Residential Housing System in 2010 with the introduction of quasi-compact housing supply has been the effort to activate. However, the newly introduced system of 1ㆍ2 only in terms of supply for a household focal focusing, and a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living area spots.
Providers rather than the needs of the customer profitability across the board effective only interest lipyeon cloth studios focusing on the supply of small houses, but the prolongled real estate downturn, and the excess supply of income-type compact housing vacancy rate at the time of the tenant renewal rate increases have side effects, such as falls. 1ㆍ2 In this context collar household in a small house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oice of analytical work and research is required specifically streets, public transportation, crime and security, and other amenities, such as location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factors based on the tenant's landlor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mall houses to determine the priority when selecting locations to find out by looking at the first choice for landlords and tenants aware of factors that differ by factors derived importance of those factors and the resulting solution is to seek.
In this study, the income-type compact housing supply and rental business to the provider and consumer awaren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living in this comprehensive and scientific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one of the many mulit-criteria decision-making method is used layered by applying AP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onsumers and providers would like to study.
In conclusion, the provider of the future income renters and rental-type compact housing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the business of consumers believe that it is important from the perspective of tenants better understand the part in the competition with other providers and services by providing differentiated strategies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and increase revenue model, and their use to benefit the consumer, renter households increased 1ㆍ2 revenue from the type of small houses by presenting important priorities when selecting a bust daily lives by giving time-consuming and inefficient aspects in to contribute to reducing.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Ⅲ.평가모형의 설계
Ⅳ. 실증조사 분석 및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발생의 공간의존성 변화와 핫스팟 분포, 2001-2010
- 주거환경영향요인에 따른 주거가치, 주거지 신뢰가 긍정적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도시 재생의 파급효과와 도시재생전략에 관한 연구
- 금천구 1ㆍ2인가구의 소형주택 선택요인 분석
- 공인중개사의 관계마케팅요인과 고객과의 신뢰, 관계몰입 및 재방문의도 간의 영향에 관한 연구
- 황토주택의 실내공기질 평가
- 소규모 블록단위의 협조적 정비기법에 관한 연구
- 공사중단 방치건축물의 실태분석과 정비시사점
- 정책이주지 거주민의 주거환경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 지방중소도시의 도심 상권쇠퇴와 도시재생 방향에 관한 연구
- 황토주택의 거주선호도 조사연구
- 녹색도시 조성제도 개선을 위한 해외사례 분석 연구
- 중ㆍ대형 오피스빌딩 임차인의 B2B 임대차계약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거주민의 가구특성에 따른 주택유형 선택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M-W 모형을 이용한 상하이시 주택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posit-Based Rental Market Influenced by Changes of Endogenous and Exogenous Variables in the Housing Market
- 도로교통 소음으로 부터 쾌적한 주거권 보호를 위한 법적 고찰
- 노인종합복지관의 시설공간 및 서비스가 노인이용고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공모형 PF사업의 개선방안 분석에 관한 연구
- 대형마트와 SSM의 출점이 전통시장의 매출액에 미친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에너지모델링에서 기하정보 변경방법 연구: 다양한 규모의 동으로 구성된 공동주택단지를 중심으로
- 건축공간계획과 서비스 디자인의 융합적 개념에 관한 연구
- 건축 평면도 기반 실내공간 혼잡도 분석 및 예측 시각화 이미지 생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