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직경로별 대졸청년구직자의 직업선택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84

영문명
A Study on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to College Graduates’ Career Choice by Job Seeking Path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오성욱(Oh, Seong-Uk)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7집 4권, 93~11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년들, 특히 대졸자들의 초기 노동시장 진입과 적응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위험들에 관한 학문적 관심은 다양한 방향으로 이뤄져 왔다. 직장가치관과 같은 심리학적 요인부터 시작해서, 인적자본 투자와 의중임금과 같은 경제학적 요인, 그리고 노동시장 이중구조에 초점을 맞춘 사회학적 연구까지 학문적 관심영역에 따라 청년층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을 진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대졸 청년 신규 노동자가 가지고 있는 문제들의 단편적인 모습만 보여주고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대졸자들이 노동시장에서 경험하고 있는 불안정성의 문제는 단지 어느 한 시점의 문제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취업성공과 고용유지가 개인의 미래에 대한 설계와 직업에 대한 가치관,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실제적 준비, 그리고 취업활동 등의 종합적으로 결합되어 이뤄진 결과로는 점에서 이러한 요인들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는 연구적 노력들이 선결되어야지만 한국 청년들, 특히 대졸자들의 노동시장 상황을 현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축적된 청년 노동시장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대졸자들이 노동시장 진입전 형성하는 직업가치관에 따라 취하는 이들의 취업준비행동에 따라 취업이후의 노동시장 경험 등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내재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대졸 청년들이 상대적으로 입직후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높은 고용안정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직업 가치관을 가진 대졸 청년들은 입직후 근무환경에 만족감이 높았으나 이것이 이들의 일 만족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공개채용을 통해 입직한 이들 중 내재적 직업가치관을 이들이 이러한 경향을 보다 강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반면, 비공식경로를 통해 입직한 대졸청년층은 공식경로를 통해 입직한 사람보다 직업에 대한 만족이 낮으며 대체로 내재적 가치관보다는 외재적 가치관에 의해 경로 선택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높다. 이는 우리나라 대졸 채용경로가 일정시기에 공개경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향과 선진국과 달리 비공식경로를 통한 채용경로가 덜 발달된 데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내재적 가치관에 의해서 이행하기 보다는 외재적 가치관에 의한 관계설정과 이를 통한 직업선택이 이루어진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Young people, especially college graduates' initial labor market entry and social risks that may arise in the course of adaptation of academic interest are built on a variety of orientations has work values such as psychological factors. Starting with the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wages and investment in human capital to factors focused on the labor market, the dual structure to study and diagnosis of the youth labor market instability, were depending on the area of academic interest.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it has a problem that the new college youth workers have only fragmentary picture of the problem has been criticized. College graduates in the labor market that are experiencing the problem of instability can be only one point is not a problem. Looking at the diachronic study of these factors as a result of the successful employment and maintain employment for the future design of the individual values for the profession, and for them to realize practical preparation, job search activities are combined into comprehensive efforts be addressed, but the Korean youth, especially college graduates' labor market situation realistically can determine that. Therefore, the present study, depending on the values of the profession by college graduat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ccumulated so far on the youth labor market that formed prior to entering the labor market and employment since the labor market experience and job readiness to take these actions, depending on what the difference indicates whether explor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relatively young people in college have intrinsic values show higher job satisfaction, and shortly after the mouth, As a result, high levels of employment stability. Extrinsic work values with higher satisfaction in the work environment, but this leads to one of these satisfied the mouth immediately after college youth. In addition, through entering the formal job path of these intrinsic values to this trend, they more strongly demonstrated. College youth seeking job through informal channels was lower job satisfaction than those who were generally tending to be higher path selection takes place by extrinsic values. It was believed that graduates Jobs in Korea paths contrast with developed countries tends to take place through open competition for a certain period to due less-developed recruitment through informal path. It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meaning and value for the profession itself, and through them to select the job will be strengthened career guidance.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실증적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성욱(Oh, Seong-Uk). (2013).구직경로별 대졸청년구직자의 직업선택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7 (4), 93-117

MLA

오성욱(Oh, Seong-Uk). "구직경로별 대졸청년구직자의 직업선택이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7.4(2013): 93-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