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력단절여성 직장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이용수 1875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Workplace Adoption Program for Married Women of Career Discontinuity and An Analysis of Its Impacts on Their Adoption Level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이영민(Lee, Young-Min) 박가열(Park, Ka Yeul) 박경연(Park, Kyeong Yeon) 임정연(Lim, Jung-Yeon)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8권 제3호, 23~4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들이 직장에 재취업할 때 직장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토대로, 직장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설계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경력단절 여성들의 재취업 직종과 직장 부적응 원인을 검토하였고, 직장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선행연구와 인터뷰로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재취업을 준비하는 경력단절 여성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20시간의 집단상담 직장적응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전국 11개 여성 새로 일하기 센터 이용자 중 재취업을 희망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실제 프로그램을 운영한 후, 사전사후 설문을 통해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 직장 및 직무의 기대, 직장적응 내용 이해 등의 측면의 향상정도를 효과성으로 파악하였다. 시범운영 결과, 경력단절 여성 직장적응 프로그램은 재취업을 희망하는 여성들의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사회적 지지 수준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통해 직장생활에 대한 이해와 직장 관련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이해 등 학습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impact the workplace adoption of career discontinuous woman when they get back to workplace again, we developed the workplace adoption program for them and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increase the validity of program design, we reviewed the re-employment job for them and reviewed the negative influenti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ir back to the workplace. Based on the review, we designed the workplace adoption program, which consists of 20 hours module and sub-module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selected 11 women development center that recruited volunteered women and investigated the program effectiveness in terms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s, work and job expect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workplace adoption, which have been regarded as psychological elements. In the results, the workplace adoption program has highly impacted on the consequences of dependent variables. It is also expected the program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other 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understandings of work and job adoption.

목차

Abstracts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경력단절 여성 직장적응 프로그램의 개발
Ⅳ. 연구방법
Ⅴ. 직장적응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결과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민(Lee, Young-Min),박가열(Park, Ka Yeul),박경연(Park, Kyeong Yeon),임정연(Lim, Jung-Yeon). (2013).경력단절여성 직장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8 (3), 23-43

MLA

이영민(Lee, Young-Min),박가열(Park, Ka Yeul),박경연(Park, Kyeong Yeon),임정연(Lim, Jung-Yeon). "경력단절여성 직장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8.3(2013): 23-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