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학교 교육실습 운영 현황 분석

이용수 1815

영문명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 Practicum in Secondary Schools -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Practicum Policy -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조대훈(Daehoon Jho) 김자영(Jayoung Kim)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57집, 151~17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내실 있고 실현가능한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교육실습의 주요 주체 중 하나인 현장 실습학교의 관점에서 교육실습 운영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교육실습의 본질을 회복하고 내실화를 꾀할 수 있는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장 실습학교 교육실습담당부장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특히 교육실습 프로그램 전체를 기획ㆍ관리하는 현장 전문가인 교육실습담당부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전화 면담을 실시함으로써, 교육실습 운영의 현황과 더불어 단위 학교 수준에서 교육실습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고, 어떻게 개선될 수 있는지에 관해 분석해 보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등교육실습의 특징을 방임적 교육실습으로 명명하였으며,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실습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교원자격취득요건과 교육실습제도의 개선, 그리고 현직교사 인센티브제도 등에 대한 변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Based on a survey method, this study attempts to illuminate how teaching practicum is being conducted in undergraduat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o suggest both effective and sustainable ways of teaching practicum which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sirabl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eaching expertis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sponses of 60 Department Heads of Research (who are in charge of planning and administering teaching practicum) selected from major cities and provinces by using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By analyzing those teachers’responses on questionnaires, it was the researchers’s main goal to highlight the facts and problems of teaching practicum.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in contrast with the long-standing ideal belief about the practice of teaching practicum, the local version of teaching practicum in reality turned out to be a laissez-faire one, where the quality of teaching practicum largely hinged upon that of an individual cooperating teacher or that of an individual school.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suggest that, in order to restore the nature of teaching practicum and to promote colleg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universities and the secondary schools,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need to refine both the national mandates for teaching practicum and the teacher licensure system, and to develop the incentive system for cooperating teachers.

목차

국문초록
Ⅰ. 교육실습의 현주소: 연구의 배경과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분석 결과: 중등학교 교육실습 운영 현황
Ⅳ. 요약 및 제언: 교육실습의 본질 회복을 위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대훈(Daehoon Jho),김자영(Jayoung Kim). (2013).중등학교 교육실습 운영 현황 분석. 교육연구, 57 , 151-173

MLA

조대훈(Daehoon Jho),김자영(Jayoung Kim). "중등학교 교육실습 운영 현황 분석." 교육연구, 57.(2013): 151-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