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결혼이민자의 직업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이용수 719

영문명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Job Adaptation Process of Immigrant Married Women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이정희(Lee Jung Hee)ㆍ이수분(Lee Soo Boon)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20권 제1호, 141~15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적응이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적응과 사회문화적응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들의 경제적 통합을 위한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사회에서의 취업 후 직업적응 과정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취업 중인 여성결혼이민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근거이론 연구방법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과 과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산지역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얻어진 원자료를 분해하여 재구성한 결과 181개의 개념과 32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2개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직업적응과정의 인과적 조건은 ‘취업동기’와 ‘취업장벽’이며, 맥락적 조건은 ‘낯선 작업장의 어려움’, ‘차별과 편견’, ‘환경적 제약’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심현상은 ‘견디며 배움’으로 나타났으며, 중재적 조건은 ‘주변의 인정과 칭찬’, ‘사회적 지원’이며, 작용/상호작용으로는 ‘노력하고 애씀’, ‘주변의 도움을 끌어냄’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직업적응과정의 결과로는 ‘직업인으로서의 보람’, ‘다문화 시민으로서의 성장’이며, 핵심범주로는 ‘다문화 시민으로서의 자아정체감을 획득하기’로 도출하였다. 또한 과정분석을 통해 여성결혼이민자의 직업적응과정의 단계를 분석한 결과, 직업진입단계, 부조화경험단계, 조절과 적응단계, 성숙단계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여성결혼이민자의 직업적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job adaptation processes of Immigrant Married Women(IMW). To obtain the purpose, in-depth interviews for 10 currently employed IMW was conduct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the open coding, axis coding, seletive coding, and a process analysis as theoretically sensitive and constant comparison method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1998). As a result of analysis, 181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were generated in a total. Casual conditions of job adaptation process of IMW were ‘job motivation’ and ‘employment barriers’, and contextual conditions were ‘hardship of unfamiliar work’,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In addition, the core phenomenon was ‘holding and learning’ and intervening conditions were ‘recognition and praise by co-workers’ and ‘social support’, and action/interaction were found to be ‘efforts and painstaking’ and ‘deduction of neighbors’ help’. Finally, as consequences of job adaptation processes, two concepts; ‘worth as a career-woman’, and ‘growth as a multicultural citizens’ and ‘acquisition of self-confidence as a multicultural citizen’ as a core category were suggested. Moreover, a process analysis of IMW's job adaptation revealed four stages of processes; job entry stage, inharmony experience stage, adjustment and adaptation stage; and maturity stage. This research output will be used as a basic database for developing educational methods and a supporting system for a successful IMW's job adapt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희(Lee Jung Hee)ㆍ이수분(Lee Soo Boon). (2013).여성결혼이민자의 직업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20 (1), 141-159

MLA

이정희(Lee Jung Hee)ㆍ이수분(Lee Soo Boon). "여성결혼이민자의 직업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20.1(2013): 141-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