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미동맹과 한반도 제2의 도약
이용수 322
- 영문명
- A New Vision for the ROK‐US Alliance: The Second Take‐off of the Korean Peninsula
- 발행기관
- 한국경제연구원
- 저자명
- 조상훈(Cho Sang Hoon)
- 간행물 정보
- 『한국경제연구원 세미나자료』세미나 자료 09-01, 3~3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2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미동맹은 지난 50년 이상 대한민국의 안보와 번영이라는 제1의 도약을 위해 중대한 기여를 하여왔다. 그러나 한반도의 미래를 향하여 시선을 돌릴때 정전이후 1954년에 발효된 한미상호방위조약은 분단의 현실 하에서 한반도문제의 종국적 해결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남북한 간의 평화관계 정착이나 통일을 위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관해서 신중한 조명을 받지 못해 왔다.
이러한 정황에도 불구하고 한미동맹은 이제 대공황 이래 미증유의 경제위기에 이은 미국의 세계적 위상의 가변성과 김정일 일인 독재체제의 불안한 유동성이라는 동맹의 창설 이래 최대의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오바마 미 행정부는 이제 이념보다는 실리로, 힘보다는 외교로 대외정책의 방향을 광범위하게 선회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바, 한미동맹이 한미양국의 평화와 안정, 특히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체제구축이라는 제2의 도약을 향해 선명한 비전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본고는 따라서 오바마 행정부의 출범에 즈음하여 동북아에 새로이 부상할 강대국 간의 관계를 가늠해 보고, 특히 ‘새로운 중국’이라는 존재가 한반도 문제에 미칠 영향을 신중히 분석하면서 한미양국의 국익 상 그러한 비전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고는 또한 이러한 비전을 향한 전략과 과업을 검토하는 차원에서 양국이 추구하는 공통가치를 점검하는 한편, 북한 핵문제가 북한체제 자체의 문제라는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대응할 것을 주문함과 더불어, 지역안보와의 관계 특히 향후 미·중·일 3각체제 하에서도 한미동맹이 중요한 독자적 역할을 계속할 것임을 전망하고 있다. 미·중·일 3국의 협력과 경쟁 과정에서 미일동맹이 가지게 될 비전의 한계와 지역다자안보체제와
의 연결고리를 분석하고,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문제에 관해서도 한국의 주권을 감안한 신중한 대응을 자문하고 있다.
본고는 결론에 대신하여 한미동맹이 한반도 평화체제라는 비전하에 내실 있고 실효적인 슬기로운 기제로 발전하기 위해서 한미당국 간 북한문제에 관한 포괄적 전략과 이를 위한 제도의 재정립, 중국의 한반도문제 관여 가능성에 관한 신중한 대응 그리고 한미동맹의 존재의의에 관한 일반의 인식제고 등 노력을 촉구하는 동시에, 한미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세련된 소프트파워적 상호 접근, 미일동맹과는 다른 한미동맹의 독자성에 입각한 지휘체계, MD, PSI 등 현안의 대응 필요성, 그리고 한미동맹에 대한 한국 측 기여의 증대 노력이 중요함을 제언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global economic crisis unveils a new reality of the emerging strategic environment in East Asia,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declining U. S. power, the rising influence of China, and the uncertain future of the North Korean regime. The Obama administration's new foreign policy guidelines are expected to meet such security challenges in the Asia-Pacific with more emphasis on reality, diplomacy and soft power rather than on ideology and hard power. The idea of the power of balance may be introduced to manage the U. S. relationship with China and other major powers as the U. S. seeks to maintain its leadership role and to increase its engagement in the region.
However,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the unprecedented global economic crisis in recent history and North Korean leadership problem do not bode well for the peace and security of the region. Under these grave circumstances, the ROK-US alliance should be provided a historic vision for the permanent peace regime, which will lead to the normalized relations and eventual reunif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necessity of the second phase of the Korean take-off following the first phase of the nation-building and democratization of the ROK warrants such a grand vision for the alliance, which would certainly be assisted by the responsible collaboration on the North Korean problem, of the interested parties such as the U. S. and China, and should also make possible more vigorous search for a multilateral security structure in the region. This trend will open the way for a gradual review of the existing hub-andspokes system and the US-Japan alliance in particular.
In pursuing a smarter ROK-US alliance, values, culture and system will continue to play an important role, though many cases of the past alliance problems have arisen due to the ill defined remarks and populism of political leaders and the emotional release of the mass resistance, often influenced by misinformation and subversive elements. It is therefore advised to develop scrupulous ideas and vibrant opportunities, which will help achieve a healthier alliance, building upon the good records of narrowing the value gaps between the two allies and ROK's emergence as an exemplary democratic and prosperous nation.
With regard to the nuclear problem, a comprehensive approach is recommended since the problem is tantamount to the very decayed state of the North Korean edifice. A 'tough negotiation' will produce any positive results, only when the strategy is well prepared in advance for North Korea's future, since the leadership will be hypersensitive to any chances of its regime security being affected.
A smarter alliance with the vision for a permanent peace regime on the Peninsula should also require cautious handling of such issues as the strategic flexibility in consideration of ROK's sovereignty and the alliance's proper role, independent from the US-Japan alliance, so that the China’s intervention in any North Korean contingencies could be contained to the minimum, and U. S. role on the Peninsula should not be prejudiced. U.S. leadership will play a crucial role in this process so that constructive arrangements could be produced through cohesive and resolute coordination and consultations among the countries concerned.
In conclusion, it is emphasized that the Korean people should ascertain the strategic choice for their lives by hedging against many uncertainties and by grasping the opportunities with the firm vision for the permanent peace and security on the Peninsula. Six proposals,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such a vision are presented. First, strategies and institutions should be reviewed to strengthen the present ROK-US alliance system. Second, China's interest should be given a judicious and creative attention. Third, the effort to inculcate the rationale for the alliance on the ordinary people should be upgraded.
목차
【요약】
Ⅰ. ‘역사의 재림(再臨)?’
Ⅱ. 이념에서 실리로, 힘에서 외교로
Ⅲ. 한미동맹의 새로운 비전
Ⅳ. 가치, 문화, 그리고 체제
Ⅴ. 한미동맹과 북한문제
Ⅵ. 한미동맹과 지역안보
Ⅶ. 한미동맹과 한반도 제2의 도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