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개념과 종교의 조절효과

이용수 1320

영문명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and Relig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School-Life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소영(Kim, Soyoung)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1집 제1호, 257~27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4년제 두 대학에서 표집 된 18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학교생활 만족도, 사회 자아개념, 가족 자아개념, 종교유무 변인의 성별 간 차이를 살펴보고,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개념과 종교의 조절효과를 남녀 학생의 성별로 구분하여 탐색하였다. 전체학생 중 남학생은 132명(69.8%), 여학생은 57명(30.2%)이었다. 전체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는 보통수준(3.21/5)이었고, 스트레스 정도는 낮은 편(평균=1.80/4)이었다.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사회적 측면(3.10/4), 가족과의 관계 (3.37/4)에서 자신들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른 변인들은 성별 간 평균차이가 없었으나, 사회 자아개념은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개념과 종교 유무의 조절효과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여학생 집단에서만 사회 자아개념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여학생 집단에서 사회 자아개념이 높은 경우, 대학생활 만족도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력은 사회 자아개념이 낮은 경우에 비해 작았고, 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 사회 자아개념이 높은 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는 사회 자아개념이 낮은 경우에 비해 높았다. 또한, 여학생 집단에서 종교가 없을 때 오히려 조절효과가 관찰되어 종교가 없는 경우 대학생활 만족도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력이 작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social and family) and relig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school-life satisfaction for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Pearson r) and the mean difference of these variables by gender.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89 college students from two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re were 132 (69.8%) male college students and 57 (30.2%) female students. The school-life satisfaction of the entire students was a moderate level(3.21/5), and the degree of stress was less than normal levels (1.80/4). Students positively perceived their social self-concept and family self-concep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with respect to gender except for social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for male students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Secondly,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were depending on the gender.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elf-concept was detected only in the female group. When the social self-concept was higher, the influence of the stress on school-life satisfaction was low compared to smaller social self-concept group. In both groups, when there were no religious beliefs, the moderating effects were observed. That is, when there is no religious beliefs, the influence of stress on school-life satisfaction was smal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영(Kim, Soyoung). (2013).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개념과 종교의 조절효과. 열린교육연구, 21 (1), 257-278

MLA

김소영(Kim, Soyoung).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개념과 종교의 조절효과." 열린교육연구, 21.1(2013): 257-2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