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80년대 이후 한국사회 비판적 가족담론의 변화: 비동시성의 동시성

이용수 2530

영문명
The Family Discourse Trends of Korea Since 1980s: The Simultaneity of the Non-Simultaneous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김혜경(Kim, Hye-Kyung)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4집 4호, 166~195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1980년대 중반 이후 한국 가족연구의 변화 경향을, 시대적 배경과 관련하여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론은 문헌연구로서, 가족사회학, 여성학적 가족연구 등 사회과학적 분야를 주요 대상으로, 1차적으로는 단행본을 중심으로 하고, 2차적으로는 학술저널을 검토하였다. 학술저널은 가족연구 전문지이며 투고자의 분야가 비교적 포괄적인 『가족과 문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 사회에서 비판적 가족론의 흐름은 1980년대 후반의 마르크스주의적 가족론을 거쳐 1990년대 전반기 본격적인 여성주의 가족론으로 진화했으며, 90년대 중반 이래 후기근대적 서구 가족연구의 소개와 함께 근대성의 문제틀이 새롭게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세 가지의 접근은 거의 동시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90년대 거의 십년간을 통해서 상호중첩적인 전개를 보이고 있었다. 90년대 말 이후로는 이혼률 증가와 출산률 저하에 대한 인구학적 위기담론이 가족해체론으로 연결되면서 비판적 가족연구의 지성사는 정책 담론으로 협소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2000년대 이래 현재까지 신자유주의적 경제위기가 장기화되면서 미혼화, 저출산 등의 가족변화 현상은 대중적인 정책담론의 틀을 넘어서서 후기 근대적인 위험사회의 개인화라는 지구적인 경향, 한국사회의 압축적 근대화의 경험과 관련하여 재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80년대 이래 한국가족 연구의 중층적 경향은 근대와 탈근대의 압축적 근대성, 비동시성의 동시성이라는 용어로 요약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review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family theories and the family researches in Korea, focussing on discourses in the field of the family sociology and the feminist study on family from the latter of 1980s to the present. It covers the academic books and journal articles on the issue like family and culture, and also includes the books published outside the academia when those have the meaningful influen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rends of critical discourses on the family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Marxist family perspective through the end of the 1980s to the early 1990s, to the feminist approaches of 1990s, and nearly at the same time have witnessed the introduction of the postmodern perspective on the family. Meanwhile since the end of the 1990s the critical theories of the family has been contracted at the sight of the increasing divorce rate and the decreasing birth rate which were regarded as the sign of the family disorganzation, resulting the blooming of the policy-related family studies and withering of the radical perspectives. But continuing instability of the economic situation which has been started by the financial crisis of East Asia from the end of 1990s made it possible to integrate the theory of risk society and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into the field of family study. It meant that the Korean familial researches began to interpret the family experiences of Korea not only through the eyes of Korean tradition such as familism which has easily been labeled as the Korean peculiarity, but also through the perspectives of universal and glocal transformation of intimacy under the high risk society. It is the social situation of Korea under the compressed modernity that has made possible the simultaneity of the non-simultaneous theories in the family study.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Ⅱ. 80년대 중반-90 년대 초반: 계급관점의 가족론이 페미니즘을 수용하다
Ⅲ. 90년대: 페미니즘적 가족담론의 본격화, 그리고 탈근대적 관점과의 조우
Ⅳ. 90년대 말 IMF 위기 이후 현재: 신자유주의 경제위기와 가족관점의 탈급진화?
Ⅴ. 요약과 결론: 비동시성의 동시성으로서의 비판적 가족연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경(Kim, Hye-Kyung). (2012).1980년대 이후 한국사회 비판적 가족담론의 변화: 비동시성의 동시성. 가족과 문화, 24 (4), 166-195

MLA

김혜경(Kim, Hye-Kyung). "1980년대 이후 한국사회 비판적 가족담론의 변화: 비동시성의 동시성." 가족과 문화, 24.4(2012): 166-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