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미(無味)의 이해 방식에 관하여

이용수 211

영문명
The Way of Understanding of a taste of Non-taste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저자명
서세영(Se-Young, Seo)
간행물 정보
『철학과 문화』철학과 문화 21집, 95~12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1.1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맛없는 맛’에 대해 고찰하였다. 프랑수아 줄리앙의『Eloge de la fadeur』라는 책을 중심으로 하여 ‘맛없는 맛’을 이해하기 위한 방식을 살펴보고 이 방식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무미의 맛을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무미’와‘담’의 의미를 구분하였다. 한국과 동양의 문화에서는‘무미’와‘담’은 구분된다. 무미와 담은‘드러남’의 측면에서 구분할 수 있다. 무미는 󰡔도덕경󰡕에서 비어있고 고요한 도의 맛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도의 맛은 텅 비어 있어 어떤 맛도 없기에 뭐라고 설명할 수 없는 물의 맛과도 닮아 있다. 비어있는 맛, 그 렇기에 아무런 맛 자체가 없는 맛인 동시에 있는 그대로의 맛이다. 반면 유가경전에서 무미는 담의 형태로 나타나며 조화를 이룰 바탕의 색, 바탕의 맛으로 그려진다. 유가의 무미는 흰 쌀밥의 맛이자 앞으로 있을 조화로운 화합을 준비하기 위한 맛이다. 그리고 이 맛은 담담하며 담백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드러남을 담(淡)이라고 할 수 있다. 드러남의 측면에서‘담’은 중국 전통적 풍격의 하나에 속하며 여러 예술 작품에 드러난다. 담이란 고심과 단련의 과정을 거친 후에 마치 본래 그대로인 듯한 경지에 도달하는 자연스러움이다. 담의 추구로 얻고자 한 것은 드러난 형상, 얻어진 감 각 그 자체가 아니다. 그 너머에 있는 어떤 것을 말하기 위해 담이라는 형식을 취한다. 담이란 무미가 드러난 형태이자 도의 실제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그렇기에 담을 감지하는 순간, 환기되는 것은 맛없는 맛이자 스스로 그러함이다. 무미의 감각적인 경험은 무미가 드러난 형식인 담을 통해서 환기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bout 'a taste of Non-taste(맛없는 맛, 無味之味).' I make study of this concept in Francois Jullien's 『Eloge de la fadeur』. Non-taste(무미, 無味)is different from tasteless. The point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difference of two concepts. Non-taste is compared to 'Darm(담, 淡).' Non-taste is a appearance of Tao(도, 道). I distinguish Darm with Non-taste. Non-taste is a Taoist's term, but Darm is a Confusian's term. Darm is not Non-taste. In chinese philosophy, Darm is a aesthete term to explain a work of art. Darm is a term of high level in art. The basic idea of Darm is not simple. Darm's level require a strong training, a endurance and a hard work. After this course, you gain the Darm's level. However Darm is a natural situation. The level of Darm is like to Non-taste. There is no effort to reach at the level of Non-taste. Darm's level is over the other's level. If you want to know something is Non-taste or not, you need to understand Darm. Non-taste and Darm are two aspect of Tao. A taste of Non-taste is a way to show Tao.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며
2. 무미(無味)의 맛
3. 담(淡)의 맛
4. 무미의 드러남: 담(淡)
6. 맛 너머의 맛
7.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세영(Se-Young, Seo). (2010).무미(無味)의 이해 방식에 관하여. 철학과 문화, 21 , 95-123

MLA

서세영(Se-Young, Seo). "무미(無味)의 이해 방식에 관하여." 철학과 문화, 21.(2010): 95-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