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자의 ‘횡설’과 ‘수설’

이용수 2831

영문명
Semiological Analysis of Zhu Xi's Moral Psychology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이승환(Lee, Seung-Hwan)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37輯, 175~20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조선유학이 두 갈래로 나눠지게 된 이유를 규명하기 위한 기획연구 시리즈의 도론 격에 해당한다. ‘기호 배치방식’의 관점에서 볼 때 주자의 성리학은 횡설(橫說), 수설(竪說), 발설(發說)의 세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횡설’은 갈등관계에 놓인 두 가지 속성(또는 성향)을 좌ㆍ우로 벌여놓고 대비적으로 설명하려는 기호 배치방식이고, ‘수설’은 형이상의 ‘원리’가 형이하의 ‘재료’에 타고서 공변(共變)하는 존재론적 기제를 승반(乘伴) 관계로 설명하려는 기호 배치방식이다. 그리고 ‘발설’은 잠재태로 있던 한 속성이 현실태로 전환되는 존재론적 이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기호 배치방식이다. 조선유학사를 점철한 수많은 성리 논쟁들은 주자 성리학을 구성하는 세 프레임 가운데 ‘횡설’과 ‘수설’의 대립으로 말미암아 벌어진 것이다. 이 글에서는 ‘횡설’ ‘수설’ ‘발설’로 대변되는 ‘기호 배치방식’이야말로 조선유학사에서 벌어진 성리논쟁을 명료하게 들여다보게 해주는 방법론적 틀임을 밝히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author aims at clarifying the ontologicomoral psychological fe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ositions and emotions in Zhu Xi's Neo-Confucianism. From a semiological point of view, Zhu Xi's theory of li and qi is composed of two different semiotic frames: one, horizontal arrangement of li and qi; the other, vertical arrangement of li and qi. While the horizontal frame is applied to describe the ambivalent relationship between li(that is moral dispositions) and qi(that is amoral dispositions), the vertical frame is applied to explain the ontological relationship in which li(that is the principle) supervenes upon qi(that is the matter). While Toegye, by adopting the horizontal frame, tried to depict the ambivalent relationship between li(that is moral dispositions) and qi(that is amoral dispositions); Kobong and Yulgok, by adopting the vertical frame, tried to explain the ontological relationship in which li(that is the principle) supervenes upon qi(that is the matter). The unexpected divergence of two frames splitted Joseon NeoConfucian scholars into two antagonistic groups. In this paper, the author, by illuminating two different semiotic frames that Zhu Xi adopts, tried to prepare the cornerstone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Toegye School and Yulgok School couldn't help but indulged into neverending controversy.

목차

【논문 요약】
Ⅰ. 왜 이 연구를 수행하는가?
Ⅱ. 주자 성리학의 세 가지 ‘기호 배치방식’
Ⅲ. 주자 성리학의 핵심개념: 성향, 감정, 예화
Ⅳ. 주자의‘횡설’프레임과 도덕심리학적 성향 이원론
Ⅴ. 주자의‘수설’프레임과 존재론적 승반론
Ⅵ. 횡설·수설과 조선유학의 분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환(Lee, Seung-Hwan). (2012).주자의 ‘횡설’과 ‘수설’. 동양철학, 37 , 175-205

MLA

이승환(Lee, Seung-Hwan). "주자의 ‘횡설’과 ‘수설’." 동양철학, 37.(2012): 175-2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