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통가옥 벽장·반침 공간의 해석을 통한 유형화

이용수 109

영문명
A Study on Traditional Housing Built-in Closets and Banchim Spaces - Focused on Kyung-buk area’s Ahn-Chae and Sarang-Chae
발행기관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저자명
신형진 최경란
간행물 정보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vol.2 no.2, 55~6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붙박이장은 일반적인 가구형태의 장이 공간과 일체화 되어 보다 융통성 있는 활용이 가능하게 한 가구의 한 형태이다. 기존의 가구를 숨김으로써 그만큼의 손실된 공간이 확보되고 이어서 추가되는 공간활용의 가능성이 뒤따르는 이점이 있으며 성립 조건이 까다롭지 않아 다양한 주거형태에서 나타난다. 고전적인 붙박이장의 형태는 조선시대에 다수 발견되며, 처한 환경과 방식에 따라 다양함과 오묘함을 띠고 있다. 이는 직선 목부재의 수직·수평결구에서 비롯된 전통건축방식을 기반으로 비움과 채움의 풍부한 공간변화에서 발전되어 온 산물이라 말할 수 았다. 안동을 비롯한 경북지역은 조선시대 상류고택의 융성지로 문중과 상류계층의 거주 체계와 격조 있는 건축적 요소들을 갖추어 전통건축 연구에 적합한 토양을 이루었다. 안채와 사랑채의 뚜렷한 위계와 환경적 요소로 인한 다양한 가옥형태는 다수의 붙박이 공간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개괄적 측면으로 대상가옥 배치평면의 분석과, 세부적 측면으로 수납공간이 위치한 실내입면의 관찰을 통하여 다수의 사례들이 일련의 유형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추출되어 규명한 붙박이 공간의 전통문화 요소는 당시 삶을 살던 상류계층의 삶의 행태와 문화적 가치를 밝혀나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영문 초록

Built-in closets are ordinary closets merged within waIIs, making a more flexible use of the room space. By hiding the furniture the room gains that much more space and this enables to make flexible use of the additional space. It is not difficult to implement built-in closets, so they appear in many different styles of houses. Traditional built-in closets are frequently found in Chosun era’s housings, being diverse and mysteriou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hey are in. This is a developed product of the abundant space change of solid and void. It is based on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which derived from the usage of straight timber on the traditional cross-connections of the housings. The Kyung-buk region, including Ahn-dong, was a prosperous upper class area. It provided suitable soil for studies of traditional housings and the living style of the noble. The various housing styles, which were derived from environmental elements and the distinct hierarchy of the ahn-chae and the sarang-chae, developed into a range of discoveries of built-in closets. It was able to find a similarity in numerous different housing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ayout and fIoor planning in a general sense, and the examination of the interior storage space in a more specific sense. The extracted and defined traditional elements of built-in cIoset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dentifying the life style of the upper class and its cultural value.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한국 전통 벽장·반침 공간의 이해
3. 경북지역 반가의 사례분석
4. 유형화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형진,최경란. (2010).전통가옥 벽장·반침 공간의 해석을 통한 유형화.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2 (2), 55-65

MLA

신형진,최경란. "전통가옥 벽장·반침 공간의 해석을 통한 유형화."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2.2(2010): 55-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