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상학적 시간론을 통한 현재의 의미 이해와 초등 역사교육에의 실제 적용

이용수 319

영문명
Understanding of Significance of Present and Practice of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through Phenomenological Time Theory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김봉석(Bong-seok Kim)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51집, 131~15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후설의 현상학적 인식론에서 특히 시간론에 주목하여 연구를 출발하였다. 후설의 시간론은 ‘살아있는 현재’라는 논제로서 대표된다. 살아있는 현재는 과거와 미래로 이어지는 하나의 연결선상으로 이해한다. 즉, 현재는 과거지향과 미래지향이 함께 지평으로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현재는 과거의 역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된다. 결국 후설의 시간의식은 역사학에서 시간성을 해명하고 있다. 후설 시간론의 논의는 역사에서의 현재의 의미를 이해하고 해명하게 한다. 즉, 역사에서의 현재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동시에 현재라는 의미를 과거의 역사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바라보게 한다. 이 논의를 중심으로 초등 역사교육과 관련지어 유용한 함의를 찾았다. 먼저 역사이해의 출발점이 인식주체가 현재 생활하고 있는 생활세계가 되어야 한다. 또한 과거가 아닌 현재의 역사교육으로의 패러다임이 전환된다. 아울러 내적지평과 외적지평이 일치하는 학습자 중심의 현재에서 출발하는 역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교수ㆍ학습에 실제적으로 적용해보았다. 현상학을 역사교육에 접목하려는 본 연구의 시도는 최근 ‘통섭’으로 대표되는 학문의 융합에 비추어볼 때도 의미가 있다. 앞으로 본 연구를 통해 역사교육의 인식론적 논의가 보다 풍부해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focused on time theory in Edmund Husserl’s phenomenological epistemology. Edmund Husserl’s time theory is represented as topic of ‘living present.’ The living present can be understood as one connection wire that connects the present to the past and future. In other words, the present is connected with retention and protention. Thus, the present is recognized that includes the history of past. Edmund Husserl’s time theory reminds importance of the present in history, and it makes that the present as significance is regarded as including history of past at the same time. Focusing on discussion about that, the useful implications were examined related to the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First, the starting point of understanding of history should be the living world where the subject of perception is living at the present. In addition, the paradigm as the present history education but the past is converted. Besides, the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should be converted into here but there and the history education should develop the prospect of future as well.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Ⅱ. 후설의 현상학적 시간론과 역사인식
Ⅲ. 현재의 역사교육적 함의와 교수ㆍ학습의 실제
Ⅳ.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봉석(Bong-seok Kim). (2011).현상학적 시간론을 통한 현재의 의미 이해와 초등 역사교육에의 실제 적용. 교육연구, 51 , 131-153

MLA

김봉석(Bong-seok Kim). "현상학적 시간론을 통한 현재의 의미 이해와 초등 역사교육에의 실제 적용." 교육연구, 51.(2011): 131-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