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과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1000

영문명
The Developing and Validation of Communication Ability Scale
발행기관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저자명
남궁정(Nam Kung, Jeong) 김종훈(Kim, Jong-Houn)
간행물 정보
『창의력교육연구』제10권 제1호, 85~10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5.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의학대학생 선발 과정이 의학전문원 체제로 바뀌면서 이에 적합한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면서 새로운 교과과정으로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한 과목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의과대학생과 훈련받은 모의환자와의 의사소통기술 능력을 평가하는데 적합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관련 도구 분석을 통해 진로성숙 구인을 개념화 하고 이에 근거하여 의사소통기술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캘거리 - 캠브릿지대 모형을 근거로 본 연구의 의사소통기술 연구 모형을 개발하고 관련 연구들을 토대로 형성된 모형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여 의사소통기술 척도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상호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고유값이 모두 1.0 이상, 요인적재량은 0.5, 누적분산설명력은 60% 이상, 신뢰도 계수는 0.8 이상, 상호상관계수는 0.8 이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평가도구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의사소통기술 구인을 개념화하고 이에 근거한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경험적으로 타당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모두 의과대학생들이며 이들을 분석해 본 결과 현재 우리사회의 선발기능으로 인해 영재아들로 인식되고 있는 특목고를 졸업한 학생들이 15% 이상되었다. 적용적 측면에서 의과대학생의 선발과정에서 기존의 학업성적 뿐만이 아니라 의사소통능력과 관련한 수업장면을 비롯한 다양한 측면에서 합리적으로 적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나아가 의사소통에 대한 기본구조로 능력 차원을 기초로 하여 창의적 능력을 척도로 개발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Communication Ability Scale for elucidate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Korean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2) test construct validation throug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In oder to answer these purposes, we first reviewed related documents and inventories, as to research the constructed factors which to develop a Communication Ability Scale, then defined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the theological constructive model. They were included in 6 components and in 20 sub-components. Based on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90 items were selected to final test items. Second, to examine the best fit construct model for Communication Ability, we assumed conceptual model for Communication Ability, base on Calgary-Cambridge model(2007) and proposed base on related studies that included the other components for Communication Ability. As a result of covariance structue analysis, we confirmed Communication Ability model include 6 components. Communication Ability scale of this study developed and examed can be applied future study for the genera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궁정(Nam Kung, Jeong),김종훈(Kim, Jong-Houn). (2010).의과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창의력교육연구, 10 (1), 85-109

MLA

남궁정(Nam Kung, Jeong),김종훈(Kim, Jong-Houn). "의과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창의력교육연구, 10.1(2010): 85-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