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린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들의 일상생활경험

이용수 2698

영문명
Daily Life Experiences of Dual-earner Couples with Young Children: The Temporal and Emotional Organization of Daily Experiences among Husbands and Wives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장미나(Chang, Mi-Na) 한경혜(Han, Gyung-Hae)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3집 1호, 1~3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어린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들이 일상생활에서 배분하는 시간 구조와 활동 순간 느끼는 순간의 정서(emotion)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맞벌이부부 91쌍의 일상생활경험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맞벌이부부들의 일상현실을 ‘어디에서 무엇을 하며, 누구와 있는가’와 같은 일상시간의 외적이고 구조적인 경험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황에서 남편과 아내가 느끼는 순간의 정서경험 자료를 동시에 수집할 수 있는 경험표집법(ESM)을 활용하였다. 남편과 아내에게 하루 6번 총 5일 동안 동시에 신호를 주고, 그 순간의 외적인 상황과 정서경험을 기입하게 하여 수집한 경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 모두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맞벌이가구임에도 불구하고, 아내는 남편에 비해 가사 및 자녀돌봄 등 가족영역에 보내는 시간비율이 더 높고, 유급활동과 여가활동비율은 남편보다 낮아서 부부간에 상이한 일상시간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맥락을 구분하지 않고 전반적인 부부의 정서경험을 비교해 본 결과, 맞벌이남편은 배우자인 아내에 비해 일상 활동 순간순간을 더 긍정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맞벌이남편은 일터에서 주요 업무를 보는 순간을 일상 활동 중 가장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배우자인 아내보다 부정정서 수준이 더 높았다. 반면에 아내는 남편에 비해 가사일이나 자녀돌봄 순간을 더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자신의 유급활동 순간보다도 덜 긍정적인 느낌으로 보고하고 있다. 즉 전통적으로 남녀에게 부여된 활동 영역에서 남편과 아내는 각각 더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결과에 기초하여 맞벌이부부의 일상시간구조와 정서경험에 대한 사회규범의 영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temporal and emotional organization of daily lives of 91 dual-earner couples with young children. Experience Sampling Method(ESM) was used, which provided an access to where, how, and with whom they spent their daily time and how they experienced different settings. A sample of 91 couples(91 husbands, 91 wives) reported their activities, companion contexts and emotional states six times a day for a consecutive 5-day period. They provided 5,141 self-reports, and the unit of analysis was based on the couple level(the couple was used as the unit of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time pattern between husbands and wives. While wives, the primary caretakers of their families, spent more time on housework and childcare than husbands, they spent less time on paid work and leisure than their spouses. Second, husbands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with more intensity than their wives in overall average. Third, the pattern of daily emotional experiences differed markedly. Wives reported more intense negative states in childcare and housework, in other words, women's traditional family role. On the contrary, husbands who are not primarily responsible for housework and childcare, reported experiencing stronger positive emotions for those activities than wiv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gender role on dual-earner couples' daily lives was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선행연구 고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미나(Chang, Mi-Na),한경혜(Han, Gyung-Hae). (2011).어린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들의 일상생활경험. 가족과 문화, 23 (1), 1-39

MLA

장미나(Chang, Mi-Na),한경혜(Han, Gyung-Hae). "어린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들의 일상생활경험." 가족과 문화, 23.1(2011): 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