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가족 자녀의 결혼이민 부모 출신국 언어 습득을 위한 교육 지원 사례 연구

이용수 1151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이재분 박균열 김갑성 김선미 김숙이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0 연구보고서 3-2, 1~274쪽, 전체 27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1.16
3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결혼이민자 부모가 자녀에게 자신의 출신국 언어(모어)를 교육하는 것은 한국어 능력이 부족해 자녀교육에 자신감이 없는 부모에게 자녀교육에 있어 또 다른 가능성과 희망을 줄 수 있다. 아울러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의 언어는 그들 자녀에게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 매우 유용한 자산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차 부모의 출신국과 우리 사회를 연결해 줄 수 있는 교량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도 국제결혼가정에서 한국어 교육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녀교육을 한국어로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갖고 있다. 한국어뿐만 아니라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의 언어를 자녀에게 교육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또한 자녀에게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를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현재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를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관련정책 및 언어교육 지원에 관한 선행 연구가 부재한 상황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가정 자녀에게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를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사항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우선, 지금까지 수행되고 있는 국내 국제결혼가정의 학령기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교육지원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육지원 실천사례를 발굴, 분석함으로써 현안 문제와 개선점,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교육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국제결혼가정의 형성배경뿐 아니라 역사?문화적으로도 우리와 유사한 환경에 있는 일본, 대만의 교육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국외 사례에 대해서도 탐색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이들 국가의 교육지원 정책, 교육 환경, 교육지원 실태뿐만 아니라 교육실천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 문헌연구, 관련 자료 및 프로그램 분석,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한 협의회 개최, 전문가 심층면담 및 수업관찰, 국내외 결혼이민자 부모 출신국 언어 교육지원 현황 조사, 실천사례 수집 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영문 초록

When cross-nationally wed immigrant parents residing in Korea teach their children the language of their home countries (mother tongue), such parents lacking confidence in the kids’ education due to their difficulties with the Korean language can gain significant potential and hope in the kids’ education and as well as other areas. Furthermore, not only can the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become a valuable asset to the child individually and to Korea, it can serve in the long-term as a bridge connecting the societies of Korea and the parent’s motherland. In the case of Korea, however, there still exists the tendency to stress only the importance teaching of Korean with families of trans-national marriages and the fixed idea that education of children must be conducted in Korean. Koreans should beco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 in addition to Korean ? the mother tongue of the immigrant parent of trans-national marriages, and it is necessary to create measures to systematically educate children the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Currently, precedent research concerning policies and the related support for systematically teaching the mother tongue of immigrant parents do not exis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gather the fundamental data necessary to develop a plan to systematically teach the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these ends, the primary areas of research address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language education support efforts that have been performed thus far in Korea to teach the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to school-age children an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ly, to grasp the demands of the pending issues and areas of improvement, this study digs into and analyzes practice cases. In addition,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validity of teaching the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not only the multicultural family’s developmental background but also its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are examined against case studies of other countries, with the most similar ones of Japan and Taiwan being relied upon the most. Lastly, the paper draws conclusions with the possible implications on Korea’s education from analyses of national education policies, environments, conditions, and case studies. The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include literature review, analyses of related material and programs, academic seminars for pooling expert opinions, in-depth interviews and class observations, examinations of the current state of support for teaching the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collection and analyses of case studies. The study was able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or developing measures to systematically teach the mother tongue of the immigrant parent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a policy direction needs to be established for language education, the foremost being the need to establish the language to express “cross-nationally wed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Following an inspection of the many terminology presently being popularly used such as bilingual, mother tongue, and heritage language, a selection of appropriate terms needs to be made. Next, policies need to recognize that multicultural families are important members of Korean society, and these policies should strive to enhance their linguistic and cultural potentials from the standpoint of guaranteeing human rights and securing societal resources. As opposed to a nonrecurring and shortsighted policy, Korea needs policies based on social agreement that will go side-by-side with systematic processes. Secondly, in order to reinforce language education, the immigrant parent’s mother tongue should be adopted as part of regular school curricula, and a legal basis should be instituted to operate with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From the aspect of legi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기초
Ⅲ. 한국 사례
Ⅳ. 일본 사례
Ⅴ. 대만 사례
Ⅵ. 국가 간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분,박균열,김갑성,김선미,김숙이. (2010).다문화가족 자녀의 결혼이민 부모 출신국 언어 습득을 위한 교육 지원 사례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0 (3-2), 1-274

MLA

이재분,박균열,김갑성,김선미,김숙이. "다문화가족 자녀의 결혼이민 부모 출신국 언어 습득을 위한 교육 지원 사례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0.3-2(2010): 1-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