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제성장전략과 여성일자리(Ⅰ)

이용수 43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김태홍 김종숙 강민정 박상철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0 연구보고서 5, 1~287쪽, 전체 28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1.20
3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 연구목적 □우리 경제는 구조적으로 성장에 따른 고용흡수력이 하락하는 등 일자리창출능력이 저하되고 있다. 지난 10년간의 여성일자리 창출수준을 살펴보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여성일자리 창출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2009년 여성고용율이 외환위기 직전 수준이다. 이와 같이 여성일자리는 양적으로 큰 증가를 기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구조면에서도 과거와는 달리 지식기반서비스업에 속하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 교육서비스, 사업서비스 등 한정된 업종에서만 여성일자리가 창출되고 있다. ○또한 중간수준의 일자리(middle class job)는 감소하고, 고임금과 저임금일자리는 증가하는 고용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고용형태에서도 상용직 일자리에 여성 취업은 늘고 있으나, 이들 일자리의 고용의 질이나 안정성이 과거와 같이 보장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향후 여성고용의 양적 질적 수준의 제고를 위해서는 여성일자리 창출 업종과 직종의 다변화와 함께, 여성들이 양질의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는 정책 발굴이 필요하다. □인력공급측면을 보면 지난 10년 동안 여성인력의 양성구조가 크게 변화하였다. 2009년 여성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진학률은 86.3%로 남성 83.7% 보다 높다. 따라서 여성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고학력 여성의 비중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러한 우리 사회와 가계의 여성인력에 대한 막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이들 인력의 활용 수준이 낮아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과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여성인력활용을 구조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산업계의 인력수요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여성인력양성 구조를 변화시키고, 여성인적자원의 활용상의 애로요인을 제거해야 할 것이다. □ 최근 정부는 이와 같은 중장기적인 인력수급 측면의 구조변화를 고려하여, 2008년 이후 단기적인 경제위기극복 뿐만 아니라 미래성장동력이 되는 산업육성을 위한 새로운 경제성장전략을 확정하였다. 그리고 녹색기술, 첨단융합산업, 고부가 서비스분야의 세부업종을 육성하여, 향후 10년 간 700조 부가가치 창출과 10년 동안 350만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경제성장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경제성장전략 변화는 새로운 산업의 발전을 가져올 것이고, 이에 따라 새로운 인력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신성장산업의 발전전략과 함께 여성인력활용을 제고하기 위해서 인력수요에 기초한 여성 인적자원개발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행 여성일자리 창출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고 여성인력 활용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녹색성장전략에 따른 여성인력양성과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녹색성장전략과 여성일자리 창출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녹색성장전략에 따른 일자리 창출 현황과 전망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녹색직업별 성별 취업현황, 녹색사업체의 인력활용과 수요, 유망 녹색직종의 발굴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주요국의 여성 녹색일자리 정책을 점검하여, 우리나라의 녹색일자리 수급현황과 전망에 기초한 여성인력활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women's HRD strategies regarding national economic policies. Of particular interest in 2010 was green growth, and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growth and women's HRD policies. First, we analyzed labor supply and demand driven by green growth. Second, we tried to find promising occupations which are appropriate to women. Third, we reviewed other countries' policies and developed implications. We utilized various methods such as statistical analysis using national sample survey of green firms. Since green growth is a new strategy in Korea, we tried Delphi survey on with various expert groups related to green growth strategy. Green growth strategy is a chance to increase jobs in terms of changes in both consumption and production patterns. Thus, labor demand is expected to be increased to support the growth. Current status of men and women college graduated shows that more men have green related majors than women have. In addition to this, more men are working at green industries. Since green industries are still segregated to male dominant fields, government intervention programs are inevitable in order to increase utilization of women in green growth industries. In order to derive future labor demand, we surveyed 1,000 green firms in Korea. We allocated the samples depending upon the firm size and business areas, which are sorted by National Committee of Green Growth. The fields include and not limited to new and recycled energy, energy efficiency, climate forecast and its impact, green construction, water environment, and low-carbon economic activities. The proportion of green sales is 65% on average in each firm. The firms are more likely to try green business due to the changes of market as well as the policy drives. They are optimistic to the future market conditions both in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They experienced several obstacles in pursuing businesses such as initial cost, the lack of skilled labor, and the lack of technologies. They hired less women than men. Women were more likely to have operation or production related occupations in green firms. Delphi results by expert groups show that firms have higher labor demand in technology and sales divisions in the near future. In particular, low-carbon economic activities, mostly service industries and energy industries have higher labor demand than other industries. The levels of skill vary according to industries. Newly generated markets are more likely to require skilled labor, but existing business areas are more likely to generate demand for unskilled labor. US and EU countries had several cases of policy intervention for green job creation. Those were mostly focused on training and vocational education,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networks, and providing several employment subsidies. However, there were few actions for women. In Korea, policy interventions had started regarding green growth and human resources since 2009. We need to build up the policies about women's HRD and employment at this momen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pport that policies for women in green growth need to include gender main-streaming in national economic growth, women's vocational training

목차

Ⅰ. 서 론
Ⅱ. 녹색성장전략과 여성일자리
Ⅲ. 성별 녹색일자리 현황과 전망
Ⅳ. 녹색분야 사업체 실태와 직종 전망
Ⅴ. 여성 녹색일자리 정책 현황과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홍,김종숙,강민정,박상철. (2010).경제성장전략과 여성일자리(Ⅰ).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0 (5), 1-287

MLA

김태홍,김종숙,강민정,박상철. "경제성장전략과 여성일자리(Ⅰ)."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0.5(2010): 1-2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