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의 만혼화와 저출산에 관한 연구

이용수 3764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김혜영 선보영 김상돈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0 연구보고서 18, 1~277쪽, 전체 27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07
3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우리사회의 저출산?고령화현상은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어 사회 전반에 커다란 충격으로 다가오고 있다. 현재와 같은 최저출산 현상은 결혼과 가족, 자녀가치관 등 의식차원의 변화로부터 정보기술의 발달과 이로 인한 노동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이르는 복합적인 사회변동의 결과라는 점에서 해법마련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저출산의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사회현상 가운데 하나가 바로 만혼 경향이다. 한국사회의 경우 평균혼인연령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데, 바로 이같은 결혼의 지체와 회피가 출산율을 약화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사회는 90년대 이래 지속적으로 결혼 및 출산, 자녀가치관의 변화가 뚜렷하게 확인되고 있으며, 혼인연령의 증가 및 혼인율 감소에 따른 비혼 인구의 급속한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같은 지속적인 혼인연령의 상승과 결혼에 대한 기피는 결혼 및 가족생활에 대한 개인들의 인식과 평가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현재 우리사회의 가족형태 및 생활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출산력 약화의 주요 원인으로 규정되는 젊은 남녀의 비혼 사유 및 가족의식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향후 저출산 정책에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따라서 저출산 정책은 비단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출산율 조절이나 출산장려 차원의 인구정책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취약계층 가족에 대한 다양한 지원정책에서부터 모든 남녀 근로자의 일가족양립을 지원하는 인프라의 구축 및 확대, 나아가 전반적인 가족의 삶을 시간적, 공간적, 경제적으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가족친화적 사회환경조성에 관한 논의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위 결혼적령기를 넘어선 미혼여성, 즉 평균 결혼연령 이상의 미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결혼을 미루거나 회피하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 있다. 또한 이들의 결혼 및 출산의향과 구체적인 계획 등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결혼진입 및 출산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들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뿐만 아니라 미혼여성들의 결혼진입을 위한 지원정책의 선호도 및 욕구분석을 통해 향후 효과적인 가족정책 및 저출산 정책의 방향과 내용들을 검토하였다. 나아가 동일연령대 기혼여성들의 가치관 및 결혼선택 동기들을 미혼여성들과 비교함으로써 미혼 여성들의 결혼진입을 높일 수 있는 개인적, 제도적, 환경적 요인을 탐색하는 한편, 결혼연령과 출산자녀수의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여성의 만혼화가 저출산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2. 연구의 주요 내용 본 논의에서 다루는 주요한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만혼화에 대한 개념정의와 함께 만혼화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결혼 및 가족의식의 변화에 따라 결혼연령규범 역시상당부분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령규범에 대한 기?미혼여성 및 남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결혼의 의미와 주요한 조건에 대한 여성들의 태도와 함께 현재의 만혼화가 갖는 가족정책적 함의에 관해 논의하였다. 둘째, 평균 결혼연령을 넘긴 미혼여성들의 결혼 및 자녀가치관은 물론 이들의 직장생활 및 근로환경, 직업만족도, 향후 일가정양립의 전망과 이들의 결혼 및 출산의향 등을 살펴봄으로써 미혼여성들의 결혼의향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고, 그러한 요인들의 상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셋째, 만혼을 야기하는 주요 요인에 대한 규명과 함께 만혼의 경향과 출산율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결혼연령 및 출산율 변화에 관한 기존 논의들을 검토하는 한편,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결혼연령과 출산자녀수 및 향후 출산계획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결혼연령과 출산자녀수를 결정짓는 다양한 변인들을 탐색하였으며, 결혼연령과 출산자녀수와의 구조적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만혼화와 저출산의 상관성을 규명하였다. 끝으로,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여성의 만혼화와 저출산을 완화할 수 있는 주요 정책 방향과 내용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giving attention to the late marriages of women(the main cause of low birth rate), aims to 1) explore the living world of unmarried females along with the reason behind late marriages while looking at the main determinants of marriage decisions; 2) investigate the causal structures between female's age at marriage and childbirth.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s not only what single females think of marriage and their value and attitude of family, but also the living world around them, future prospects and expectations of labor environment and one's occupation, judgments on work-family balance, and the order of priority regarding work, marriage, and childbirth. The causal 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women's age at marriage and their number of children. The founding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single women of age between 29 and 44, had at least graduated from community colleges(76.9%) and were employed(96.5%). More than half of them were performing general office work and held an administrative position(62.9%) and had permanent employee status(75.1%). Such stable occupational status increases the expectation of single females on balancing work and family life. However, the very same status can hinder unmarried women from getting married. In fact, by looking at married women, we found that females with higher occupational status got married at later age with fewer number of children while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single women thought of their career as not having any negative effect on their willingness to get married or the very judgment of doing so. However, unmarried females were less satisfied with maternity leave, had negative understanding of corporate culture discriminating women and heavy dependency on women regarding childbirth and nurturing, despite their stable occupational status. These factors, along with their stable occupational status, increase the opportunity cost of marriage for females. Meanwhile, more than half of single females responded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a marriageable age and showed higher receptivity on various family forms and gender role equality.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childbirth and children in amicable family life was well received. Unmarried females also seemed to have internalized the notion that parents should sacrifice for their children. According to the earlier studies, the more they agree on the value of children and accept the responsibility of parents on children, they were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perspective on getting married and childbirth.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arenting role and heavy burden of responsibility might have a negative effect on deciding to get married and to give birth. Secondly, while unmarried women in general are showing positive inclination and attitude toward marriage and childbirth, the group with higher education and income level(especially single females in their early 30s) is showing higher inclination of marriage and childbirth compared to that of other single female groups. The reason they are not married yet despite such high inclination of marriage and childbirth can be attributed to their awareness of change in socioeconomic status related to marriage. In other words, more than few single females are mentioning the burdensome nature of giving birth and nurturing while recognizing the difficulty of balancing work-family balance,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the pressure of becoming a parent. Thus, such hesitation on getting married and giving birth could imply how big the pressure women deal with by getting married and giving birth has on their inclination on marriage. This explanation is also supported by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clination of marriage. That is, for unmarried females, the sense and attitude toward family and marriage, how they perceive of marital resources and work-family balance, and the p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미혼여성의 생활세계와 결혼적령기 등 가족관련 인식
Ⅳ. 미혼여성의 결혼의향 결정요인
Ⅴ. 기혼여성의 결혼연령과 출산자녀수의 인과구조
Ⅵ. 소결 및 정책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영,선보영,김상돈. (2010).여성의 만혼화와 저출산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0 (18), 1-277

MLA

김혜영,선보영,김상돈. "여성의 만혼화와 저출산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0.18(2010): 1-2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