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 박사인력의 교육-고용 불일치 실태와 과제

이용수 309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신선미 김종숙 임후남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0 연구보고서 17, 1~175쪽, 전체 17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06
23,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 연구의 개요 가. 연구목적 이 연구는 여성 박사인력의 규모, 취업 실태, 교육-고용 불일치 정도와 요인을 분석하여, 박사급 여성인력정책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특히, 녹색 일자리와 같이 정부가 역점을 두고 확대하고자 하는 일자리에 여성 박사가 어느 정도 진출하고 있으며, 그들의 취업실태나 교육-고용 불일치 정도가 다른 전공분야의 박사들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도 별도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여성 박사인력의 규모는 얼마나 되며 이들의 성별, 연령층별, 전공별 분포는 어떠한가? 2) 여성 박사인력의 취업실태는 어떠한가? 3)여성 박사인력의 교육-고용 불일치는 어느 정도로 발생하며 그 요인은 무엇인가? 4)교육수준-직무수준 불일치 일자리의 경우 적정 학위수준은 무엇이며, 그 일자리에서 박사학위 취득자에 대한 우대나 경력기간 요구 등이 있었는가? 5)전공-직무내용 불일치를 경험한 박사의 경우 불일치 정도가 어떠하였는가? 즉 항상 불일치 상태였는가, 일시적으로 혹은 업무의 일부가 불일치 상태였는가? 6)교육-고용 불일치 일자리는 어떤 특성(직장유형, 고용형태, 월평균 임금, 근무기간, 일자리에 대한 만족도)을 가지고 있는가? 7)교육-고용 불일치 경험이 있는 박사들의 박사과정 진학동기와 재학 중 취업준비는 어떠했는가? 8)박사인력에 전문화된 취업지원 정책방안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나. 연구방법 ○ 문헌조사 : 교육-고용 불일치에 대한 정의와 기초적인 실태 파악 ○ 통계자료 재분석 : 여성 박사인력(제3장)과 녹색성장 관련 전공 신규박사(제4장)의 취업실태와 교육-고용 불일치 요인 분석 ○ 질문지 조사 : 제3장과 제4장의 분석결과를 보완하고 여성 박사인력에 관한 정책개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 -조사내용 : 1) 현재 일자리에서 교육-고용 불일치 경험, 2) 과거 교육-고용 불일치 경험, 3) 박사과정 입학 동기와 취업준비 경험, 4) 정책대안 탐색을 위한 질문, 5) 응답자의 배경요인 등 -조사방법 및 기간 : 전화와 이메일 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0년 7월 12일부터 8월 30일까지임. -조사대상자 : 총 1,000명(남자 502명, 여자 498명). 채용조건과 주관적 판단을 기준으로 교육-고용 불일치 경험이 있는 자, 혹은 취업 경험이 없는 자임. 의약학계열 출신의 박사 혹은 만45세 이상의 박사는 제외됨. ○ 전문가 자문 회의 운영 : 조사지 개발, 녹색성장 관련 전공의 박사인력의 분류 등을 위해 실시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smatch between education and employment for earned doctorates, especially women. Of particular interests are doctors who earned degrees in green industry related majors. Research questions include 1) what are the size of women doctorates and their distributions regarding sex, age, and majors? 2) Do earned doctorates have jobs after their graduation? 3) Do women doctorates have mismatch between education and employment? If so,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mismatch? 4) What are the appropriate degrees for those who have mismatch problems? 5) How is the mismatch serious for those who have problems? 6)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mismatched jobs? 7) How is the school to work transition for doctorates who have mismatch problems? 8) What are the opinions about employment assistant programs for earned doctorates? We analyzed several data collected by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gional Employment Survey by National Statistics Office, and Panel Study of Earned Doctorates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e estimated the probabilities of employment for earned doctorates and holding regular jobs, mismatch between education and jobs as well as between majors and jobs. In addition to data analysis, we collected survey data from earned doctorates who have experiences of mismatch. The number of observation was 1,000 and those included men and women doctors who are under 45 years ol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women doctorates were estimated to be 33,000, and 3,000 doctors were granted in each year. 38% of women doctors were less than 40 years old, which means that they have higher risk of career disruption due to pregnancy and child rearing. Economic participation rate for women doctors was 86.3% and their major occupations were lecturers, faculties,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and educational specialists. Since the number of doctors is growing rapidly, mismatch happens. Women doctors were more likely to be unemployeds or irregular workers. Men doctorates showed 59% of mismatch between education and jobs and women had 36.5% of mismatch rates. However sex was not a significant variable when other factors were controlled. This results proved that gender segregated majors or labor market conditions were more problematic than gender itself. Mismatch between majors and jobs was not very problematic. 95.2% of men and 96.9% of women had jobs related to their doctoral majors. Doctors who had green majors, which were defined from National Committee of Green Growth showed relatively better outcomes in job stabilities and match between majors and jobs. Mismatch between education and jobs for green doctors was lower than others. Survey data resulted that doctors who experienced mismatch were more likely to start Ph.D programs without future goals and visions. Their perception about labor market was not based on current conditions of labor market. Respondents thought that universities had responsibilities to provide assistance for job market transition. We suggested several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research outcomes. First government need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Ph.D programs and job market outcomes fo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여성 박사인력의 취업실태와 교육-고용 불일치 요인
Ⅳ. 녹색성장 관련 전공의 박사인력 규모와 취업 실태
Ⅴ. 여성 박사의 교육-고용 불일치 경험 조사
Ⅵ. 결론 및 정책제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선미,김종숙,임후남. (2010).여성 박사인력의 교육-고용 불일치 실태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0 (17), 1-175

MLA

신선미,김종숙,임후남. "여성 박사인력의 교육-고용 불일치 실태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0.17(2010): 1-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