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명말(明末)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에 대한 새로운 평가
이용수 502
- 영문명
- Rethinking matteo Ricci, the Italian Jesuit Missionary to Late Ming China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저자명
- 김상근
- 간행물 정보
- 『선교신학』제12집,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celebrated Italian Jesuit missionary Matteo Ricci has been recognized as a pathfinder of contextualization theology as he audaciously attributed traditional Confucianism as a missionary point of contact between Christianity and China during the last decades of the Ming Dynasty, China. His book T'ien-chu shih-i illustrates Ricci's innovative strategies of accommodating Confucian religiosity and philosophy into the basic doctrine of Christianity, especially on the concept of God, He tried to introduce the Western religion to the late Ming Chinese intellectuals avoiding their cultural reactions against encroaching foreign religion. His last book Chi-jen shih-p'ien, written in Chinese in 1608 just two years before his death at Peking, however, contains a very different religious and missiologial argument. Matteo Ricci articulated the traditional religious theme of Memento morifollowing the ways in which traditional European folk religion had been sustained and multiplied throughout the history of Medieval Europe, Matteo Ricci's last book, Chi-jen shih-p'ien, clearly shows that he was following the footsteps of numerous Counter-Reformation Jesuit preachers and missionaries who used the subject of Memento mori the scare tactics to convert non-believers and pagans in Europe and elsewhere. The Chinese intellectuals, however, did not hear Matteo Ricci's scary stories about death and hell without their own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Their Neo-Confucian frameworks of the early seventeenth-century Ming China allowed them to accommodate and comprehend the teaching of Western Christianity from their own Neo-Confucian perspectives.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畸人十篇』 해제
Ⅲ. 중세기독교 선교신학과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Ⅳ. 메멘토 모리의 의미와 역사
Ⅴ. 『畸人十篇』 에 나타난 메멘토 모리에 대한 중국 지식인의 반응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과철학 제44호 목차
- [서평] 『토마스 베리 평전- 생태 사상의 선구자』
- 떼이야르 드 샤르댕의 ‘통합의 형이상학(Métaphysique de l'Union)’의 개념과 의의 그리고 ‘과정철학’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