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수직척도 타당성 검토

이용수 1251

영문명
A Validity Study for Vertical Scale of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05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이규민(Guemin Lee) 임현정(Hyun-Jung Im) 박인용(In-Yong Park) 김연정(Yeonjeong Kim)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3권 제3호, 617~64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에서는 매년 학생들의 학년별 성취도 변화를 평가하도록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수직척도가 개발되어 적용되었다.이 연구는『한국교육종단연구2005』에서 개발된 수직척도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연구)설계되었고, 2005년 이후 4년 간 누적된 자료를 이용하여 척도화 표본과 표준화 표본을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수직척도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6가지 서로 다른 수직척도 개발 방법을 선정하여 국어, 수학, 영어 교과에 적용하였고, 다층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수직척도화 방법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기 위한 표본의 사례 수제한과 그로 인한 모수추정의 불안정성 문제, 학년 간에 100점이라는 임의 성장 정보를 추가한 문제, 차별적으로 기능하는 문항을 학년 간 수직척도 개발을 위한 공통문항으로 사용한 문제, 문항 반응 패턴 채점 방식이 아닌 총점과 수직척도 점수 변환 방식을 사용한 문제 등은 개발된 수직척도의 타당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지, 학년 내 척도 점수의 분산 수준 결정은 수직척도 개발을 통한 학교효과 분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척도 변환의 미결정성은 모든 척도개발에 관련되는 사항으로, 이러한 점이『한국교육종단연구2005』수직척도의 타당성을 위협하는 근거로 해석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다년간에 걸친 자료 분석과 결과 비교를 위해 개발된 수직척도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영문 초록

A new vertical scale was firstly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national achievement evaluation in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tarted in 2005 (KELS 2005).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newly developed vertical scale of KELS 2005 by using both vertical scaling samples and standardization samples aggregated for 4 years after its inception. Six different vertical scaling methods were differentiated and applied to Korean Language, Mathematics, and English subject matter areas, and multilevel models and analysis techniques were adopted to compare six vertical scaling methods.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conclude several factors would not be related in threatening the validity of vertical scale of KELS 2005. Those factors include (1)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for applying item response models and the related unstability issue of item parameter estimates, (2) the problem of adding manipulated growth information, like 100-point growth per grade, onto the vertical scale, (3) the impact of the use of differentially functioning items as common items for vertical scaling, and (4) the implementation of number correct to scale score conversion table insead of pattern scoring. The level of score variation within grades in vertical scale had some influences on the analyses of school effectiveness under multilevel models. However, it would be reasonable not to interpret this result as the evidence to invalidate the vertical scale of KELS 2005, because the level of score variation within grades would not be a generic factor to vertical scale, but would be related to all possible score scales. In turn, it would be recommended to maintain the level of score variation within grades set in 2005 to support the comparison of student achievement growth over several years after 2005.

목차

Ⅰ. 서 론
Ⅱ.『한국교육종단연구2005』수직척도 개발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규민(Guemin Lee),임현정(Hyun-Jung Im),박인용(In-Yong Park),김연정(Yeonjeong Kim). (2010).『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수직척도 타당성 검토. 교육평가연구, 23 (3), 617-640

MLA

이규민(Guemin Lee),임현정(Hyun-Jung Im),박인용(In-Yong Park),김연정(Yeonjeong Kim).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수직척도 타당성 검토." 교육평가연구, 23.3(2010): 617-6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