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무스트레스 연구의 동향과 향후 방향

이용수 1561

영문명
A Critical Review of Job Stress Literature in Korea: 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문형구(Hyoung Koo Moon) 최병권(Byoung Kwon Choi) 고욱(Wook Ko)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4집 3권, 117~187쪽, 전체 7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0
11,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학술지에 발표된 총 56편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연구에 대한 고찰은 전반적 현황 분석, 개념․이론․연구형태․연구방법 분석, 그리고 실질적 분석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국내 직무스트레스 연구의 주요 한계점들로 1) 전반적 현황 분석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선행요인 중 주로 직무 및 역할 관련 요인들에 치중, 직무스트레스의 개념과 차원에 대한 개념적 연구의 부족, 종단면적 연구의 부족 등, 2) 개념.이론.연구형태.연구방법 분석에서는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개념적 정의 부족,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의 미흡,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하위차원에 대한 연구 부족, 직무스트레스 이론의 다양성 및 심층적 분석의 부족 등, 3) 실질적 분석에서는 직무스트레스의 조직수준에서의 조절변수에 대한 연구 부족, 직무스트레스의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 부족, 직무만족․조직몰입․이직의향 등 몇몇 결과변수에 치중 등을 지적하였다. 직무스트레스의 향후 연구방향으로, (1) 개념 측면에서 직무스트레스․직무소진의 개념적 정의의 명확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개념적 차이 및 이 두 개념간의 관계의 심층적 규명,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하위차원에 따른 선행요인 및 결과변수의 규명과 관련한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2) 이론․연구형태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이론을 활용한 직무스트레스 연구, 직무스트레스의 결과변수 및 매개변수 규명 연구의 활성화, 직무스트레스 연구 시에 직무스트레스 직접 측정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3) 연구방법과 관련해서 는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지속적인 활용, 측정도구와 측정방법에 대한 충실한 정보 제공, 직무스트레스 연구방법의 다양화, 한국적 상황을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4) 실증 연구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의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 규명 연구, 직무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대한 연구, 조직 차원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완화 방안에 대한 연구, 연구의 표본 선정에의 주의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critically analyzed 56 studies on job stres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behavior in Korea. Three analytical procedures were used to analyze, derive key features and limitation and provide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es regarding job stress in Korea. First is to general overview of the studies, hence we overally examined the number of studies per year, antecedents and consequence studies, study method. Second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aspects of a definition and dimensions, theory and type of study, and research method such as measures. Finally, we analyzed major findings of empirical studies, focused on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moderating variables of job stress. We discovered a few limitations through our analyses. First, related to definition and dimension, many researches did not clearly define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job stress and job burnout. Also there is no discussion on the distinction and relation between these two terms, and hypotheses are verified without considering the subordinate dimensions of job stress and job exhaustion. A few studies did not use the exact terms of antecedents of job stress, job stress, and outcomes of job stress. Second, related to theory and research type,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fragmentarily listed previous studies that used similar variables or hypotheses, without applying various theories related to job stress and job burnout. Many studies were repetitions of previous studies, using different models or theories or situations, and even those that verified new variables or models added new variables or models to existing research models. Also, there were studies that verified the relation between antecedents and outcomes of job stress without considering job stress itself. Thirdly, related to research method, while foreign studies are conducted on a wide range, including theory, term, measurement tools, sub-dimensions, qualitative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domestic researches are limited to empirical researches that conduct surveys based on foreign job stress theories and models, and therefore do not reflect the situations of Korea. Also alongitudinal study is need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ause and effect of jobstress, but all domestic empirical studies use a cross-sectional analysis. Fourth, related to the level of analysis, there were no studies on groups or organizations and all empirical studies were limited to a personal level. There were various measurement tools for job stress, which made it difficult to combine the research results. Also a few studies negl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measurement tools and measurement methods. Finally related to substantive analysis, many domestic studies on job stress were limited to examining the antecedents related to job or role. They were also more focused on examining antecedents and moderators of job stress rather than outcomes. Most researches presumed that job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organization members, and there seemed to be a lack of consideration on whether this was true. Unlike foreign researches, domestic researches showed an insufficiency on personal and organizational methods on coping with job stress.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following research directions for domestic researches on job stress. (1) Concept and dimension - A determination on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job stress and job burnout, researches that examine the conceptual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burnout, researches that consider the sub-dimensions of job stress and job burnout, researches that clarify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that affect the sub-distentions of job stress and job burnout, researches that verify the effects of outcome variables, and a accurate use of job stress related terms.

목차

I. 들어가며
II. 직무스트레스 연구의 동향 및 한계
III. 향후 연구 방향
VI.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형구(Hyoung Koo Moon),최병권(Byoung Kwon Choi),고욱(Wook Ko). (2010).직무스트레스 연구의 동향과 향후 방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4 (3), 117-187

MLA

문형구(Hyoung Koo Moon),최병권(Byoung Kwon Choi),고욱(Wook Ko). "직무스트레스 연구의 동향과 향후 방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4.3(2010): 117-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