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보조용언의 표상 양식과 처리 특성

이용수 805

영문명
The Processing and Representation of Korean Auxiliary Verbs in the Mental Lexicon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황유미(Yu Mi Hwang) 이호영(Ho Young Yi) 남기춘(Kichun Na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4권 제2호, 173~182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한국어의 보조용언은 본용언(일반 용언)과 동일한 형태를 갖고 있으나 통사적구성과 의미적 특성의 차이로 인해 여러 이론적 논의의 주제가 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한국어보조용언의 심성어휘 표상 양식 및 정보처리의 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본용언과 보조용언으로 모두 사용되는 9개의 용언을 선정하여 동일한 형태의 용언(예: 가다)을 대상으로 본용언 문맥(예: 철수가 집에 갔다)과 보조용언 문맥(예: 밥이 다 되어 갔다)에서본용언의 의미가 활성화되는지 의미점화 어휘판단과제(semantically primed lexical decisiontask)를 실시하였다. SOA (Stimulus Onset Asynchrony)를 150ms (실험 1)와 1,000ms (실험 2)로 조정하여 실험하였다. 결과: 실험 결과 SOA 150ms (실험 1)와 SOA 1,000ms (실험2)에서 본용언 문맥과 보조용언 문맥에서 모두 본용언 관련 목표어에 대한 의미적 활성화가유의미하게 관찰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실험 결과를 통해 한국어의 보조용언은 국어학적으로 본용언과 의미적, 구문론적 차이가 구분되지만 언어정보처리의 측면에서는 유사한 정보처리의 양상이 관찰되므로 심성어휘집에서 보조용언의 표상 설정에 있어 본용언과의 관련성이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ing and mental representation of main verbs and auxiliary verbs. Korean auxiliary verbs take the same structure as main verbs but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do not correspond to those of main verbs. Methods: Nine verbs that can be used as both main and supportive verbs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semantic priming effect during semantically primed lexical decision tasks. For example, the verb form “ga-da(가다)” can be used in the main verb context (철수가 집에 갔다: “Cheol-Su went home”) as well as in an auxiliary verb context (밥이 다 되어 갔다: “The rice was getting almost ready”). These two verb contexts were compared to examine semantic priming effects. In Experiment 1, SOA (Stimulus Onset Asynchrony) was controlled for 150ms and in Experiment 2, SOA was controlled for 1,000m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semantic priming effect for the target verb form in both main verb and auxiliary verb contexts when SOA was 150ms (Experiment 1) and 1,000ms (Experiment 2). Discussion & Conclusion: In conclusion, although Korean auxiliary verbs can be semantically and syntactically distinguished from main verbs, similar processing aspects were observed. Therefore, the relevance of auxiliary verbs to main verbs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a mental lexicon for auxiliary verb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유미(Yu Mi Hwang),이호영(Ho Young Yi),남기춘(Kichun Nam). (2009).한국어 보조용언의 표상 양식과 처리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4 (2), 173-182

MLA

황유미(Yu Mi Hwang),이호영(Ho Young Yi),남기춘(Kichun Nam). "한국어 보조용언의 표상 양식과 처리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4.2(2009): 173-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