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젊은 한국인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와 호르몬 수용체, HER-2 상태에 관한 연구

이용수 337

영문명
A Study on BRCA1/2 Mutations, Hormone Status and HER-2 Status in Korean Women with Early-onset Breast Cancer
발행기관
대한방사선종양학회
저자명
최두호(Doo Ho Choi) 진소영(So Young Jin) 이동화(Dong Wha Lee) 김은석(Eun Seog Kim) 김용호(Yong Ho Kim)
간행물 정보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26권 제1호, 65~73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종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3.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40세 이하의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는 나이 든 여성 보다 BRCA1과 BRCA2 배선돌연변이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유방암 가족력이 있거나 젊은 나이에 유방암을 진단받은 백인 여성들의 BRCA1/2 돌연변이 암에 대한연구에서 면역조직화학적으로 BRCA1/2 돌연변이 음성인 암과 다른 특성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가족력과 관계없이 젊은 나이에 유방암이 발생한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BRCA1/2 돌연변이 유뮤에 따라, 그리고BRCA1과 BRCA2 각각의 돌연변이에 따라 면역조직화학적 특성으로 상호간의 구별이 가능한지, 면역조직화학적검사로 BRCA1/2 돌연변이의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 가능한지를 조사하는데 있으며 BRCA와 관련된 암의 예후인자로서의 역할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BRCA1/2 검사를 시행한 40세 이하의 한국인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의 유방암 수술 후 병리조직을 찾아서 조직미세배열법으로 슬라이드를 만들었다. 이 검체들의 병리조직, 등급, 림프절 전이, T 병기,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및 HER-2 상태와 BRCA1/2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 환자들의 BRCA 돌연변이 상태와 면역조직학적, 병리학적 상태와 예후 인자로서의 역할도 조사하였다. 결 과: BRCA1/2 돌연변이를 조사한 101명 중 14명에서 16개의 돌연변이가 있었으며(13.9%), 유방암-난소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4/14, 28.6%), 양측성 유방암이 있는 경우(3/9, 33.3%)에 BRCA1/2 돌연변이 빈도가 높았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인 경우 BRCA1/2 양성이 19.4% (12/62)로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비율 5.1% (2/37)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38), HER-2 음성인 경우 BRCA1/2 돌연변이 음성 비율이 16.5% (13/79)로 양성 비율 4.5% (1/22)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p=0.073),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는 차이가 없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및 HER-2 모두 음성인 경우(triple negative)는 BRCA1/2 돌연변이 비율이 24.2% (8/33)로 매우 높았 다.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상태, HER-2 상태는 단변량 변수와 다변량 변수 모두에서 무병 생존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인자 이었으나 BRCA1/2 돌연변이 상태는 무병생존에 유의한 인자가 아니었다. 결 론: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나 HER-2 음성을 보이는 젊은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프로게스테론 수용체까지 모두 음성인 경우 BRCA1/2 돌연변이가 있을 확률이 24.2%로 높아서 유방암 유전자 돌연변이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국인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 상태가 무병생존에 유의한 인자는 아니었으나 좀 더 많은 환자와 긴 추적관찰 기간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Women with breast cancer diagnosed at an age of 40 years or younger have a greater prevalence of germline BRCA1 and BRCA2 mutations than the prevalence of women with breast cancer diagnosed at older ages. Several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have been identified in breast cancers from studies of Caucasian women with BRCA1/2 mutations having familial or early-onset breast canc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early-onset breast cancer in BRCA1 or BRCA2 mutation carriers, who were not selected from a family history, could be distinguished by the use of immunohistochemical methods and could be istinguished from breast cancer in women of a similar age without a germline BRCA1 or BRCA2 mutation. We also analyzed the prognostic difference between BRCA1/2 related and BRCA1/2 non-related patients by the use of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Breast cancer tissue specimens from Korean women with early-onset breast cancers were studied using a tumor tissue microarra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estrogen receptor (ER), progesterone receptor (PR) and HER-2, as well as the histology and grade of these specimens, were compared. The prognostic impact of immunohistochemical and histological factors as well as the BRCA1/2 mutation status was investigated separately. Results: There were 14 cases and 16 deleterious BRCA1/2 mutations among 101 patients tested. A family history (4/14) and bilateral breast cancers (3/9) were high risk factors for BRCA1/2 mutations. BRCA1/2- associated cancers demonstrated more expression of ER-negative (19.4% versus 5.1%, p=0.038) and HER-2 negative than BRCA1/2 negative tumors, especially for tumors with BRCA1 tumors The BRCA1/2 mutation rate for patients with triple negative tumors (negative expression of ER, PR and HER-2) was 24.2%. Tumor size, nodal status, and HER-2 expression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ease free survival, as etermined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but the BRCA1/2 status was not a prognostic factor. Conclusion: Breast cancer that occurs in women with a germline BRCA1 or BRCA2 mutations have recognizable immunohistochemical features, which may be useful in identifying individuals that are more likely to carry germline mutations. Although the BRCA1/2 mutation status was not a prognostic factor in Korean women with early-onset breast cancer, more cases with a longer follow-up period are needed for further study.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두호(Doo Ho Choi),진소영(So Young Jin),이동화(Dong Wha Lee),김은석(Eun Seog Kim),김용호(Yong Ho Kim). (2008).젊은 한국인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와 호르몬 수용체, HER-2 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26 (1), 65-73

MLA

최두호(Doo Ho Choi),진소영(So Young Jin),이동화(Dong Wha Lee),김은석(Eun Seog Kim),김용호(Yong Ho Kim). "젊은 한국인 유방암 환자에서 BRCA1/2 돌연변이와 호르몬 수용체, HER-2 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26.1(2008): 65-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