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흰쥐의 실험적 수두증에서 뇌실막세포 중간세사의 형태학적 변화

이용수 17

영문명
Morphologic Changes of Intermediate Filaments of Ependymal Cells in Experimentally Induced Hydrocephalic Rats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저자명
김호정(Ho Jeong Kim) 박경아(Kyung Ah Park) 이원택(Won Taek Lee)
간행물 정보
『대한해부학회지』제32권 제3호, 349~36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뇌실막세포는 뇌실을 덮고 있는 신경아교세포로 완전히 성숙한 후에는 재생하지 않으며 손상을 받아도 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수두증이 발생하면 뇌실이 확장하는 힘이 직접 뇌실막세포에 전달되며, 세포의 형태가 변형된다. 세포 내부의 중간세사는 세포의 형태변화에 저항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수두증에서 뇌실막세포 중간세사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리라고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발달중인 뇌실막세포에 수두증이 있는 경우, 중간세사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발생하는 뇌실막세포는 대개의 신경아교세포에 존재하는 중간세사의 하나인 아교섬유산성단백질(GFAP)에 대한 반응성이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선천성 및 후천성 수두증을 실험적으로 유도하여 두 유형의 수두증에서 쥐의 뇌실막세포의 미세구조 및 GFAP에 대한 면역반응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임신 15일된 흰쥐에 ethylenthiourea (ETU)를 경구 투여하여 선천성 수두증을 유발하였고, 투여 후 임신 17일째 태자, 출생한 날의 신생 흰쥐 및 출생 후 1주와 2주된 쥐의 뇌에서 조직을 채취하여 아교섬유산성단백질 면역조직화학염색 및 전자현미경 관찰을 시행하였다. 또, 생후 15일된 쥐의 거미막밑공간에 kaolin을 주입하여 후천성 수두증을 유발하였고, 주입 1주와 2주후에 조직을 채취하여 아교섬유산성단백질 면역조직화학염색 및 전자현미경 관찰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천성 수두증은 후천성 수두증에 비해 일관성있게 유발되었고 그 정도도 더 심했다. 2. 생후 1주 및 2주된 선천성 수두증 유발 흰쥐의 가쪽뇌실에서 GFAP에 양성 반응을 보이는 뇌실막세포가 관찰되었으 나, 대조군과 후천성 수두증에서는 양성 반응을 보이는 세포를 관찰할 수 없었다. GFAP 양성반응 세포는 무리를 이루고 있었으며, 그 수 및 분포에 따른 특별한 경향을 찾아볼 수 없었다. 3. 선천성 수두증이 유발된 흰쥐 가쪽뇌실의 뇌실막세포는 세포질내에 중간세사의 수가 매우 증가하였고 그 방향은 불규 칙하였으며, 뇌실막밑조직내에 공간형성, 사립체의 변화 등 미세구조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선천성 수두증은 후천성 수두증과는 달리 확장력에 대하여 더 큰 반응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되며, 미숙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영문 초록

Ependymal cells line the surface of cerebral ventricles. They do not regenerate after they are fully matured and have a limited response to injury. In hydrocephalus, the expansile force of the ventricular wall is applied to ependymal cells and causes cell deformity to some degree. As it is known that the intermediate filaments of a cell act as a framework that resists changes in cellular shape, there may be some detectable changes of intermediate filaments of ependymal cells in hydrocephalus. In developing ependymal cells, it is also unclear if there are any changes to intermediate filaments in hydrocephalus. Developing ependymal cells are known to lose their immunoreactivity to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a kind of intermediate filaments which exist in some neuroglial cells. We experimentally induced congenital and postnatal hydrocephalus and investigated the changes of immunoreactivity against GFAP as well as the ultrastuctures of rat ependymal cells in both types of hydrocephalus. To induce congenital hydrocephalus, 40 mg/kg of ethylenethiourea (ETU) was orally administered to pregnant rats on the 15th day after conception. Tissues taken from fetuses on the 17th day, from newborn rats immediately after birth, and from rats of 1 week and 2 weeks after birth were obtained and processed for immunohistochemistry for GFAP and electron microscopy. Postnatal hydrocephalus was induced by injecting kaolin suspension into the subarachnoid space of 15-day-old rats. Ependymal tissues were obtained and processed for immunohistochemistry and electron microscopy after 1 and 2 weeks following inje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ongenital hydrocephalus was induced more consistently and extensively than postnatal hydrocephalus. 2. In congenital hydrocephalus, GFAP-reactive ependymal cells were found in lateral ventricles of 1-week and 2- week-old rats, while in control and postnatal hydrocephalic groups, GFAP-reactive ependymal cells were not found. GFAP-reactive cells tended to be found in clusters. 3. Electron microscopy showed ependymal cells in congenital hydrocephalus had a less marked flattening figure, scarce apical cilia, often widened regions in the intercellular gap, spaces in subependymal tissue, and different figures in mitochondria. Above all, intermediate filaments, including GFAP, increased and were irregularly arranged in ependymal cell cytoplasm in congenital hydrocephalus. Therefore, in congenitally-induced hydrocephalus, the ependymal cells appeared to have a greater responsiveness to expansile force and remained in a more premature state than postnatally-induced hydrocephalu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호정(Ho Jeong Kim),박경아(Kyung Ah Park),이원택(Won Taek Lee). (1999).흰쥐의 실험적 수두증에서 뇌실막세포 중간세사의 형태학적 변화. 대한해부학회지, 32 (3), 349-360

MLA

김호정(Ho Jeong Kim),박경아(Kyung Ah Park),이원택(Won Taek Lee). "흰쥐의 실험적 수두증에서 뇌실막세포 중간세사의 형태학적 변화." 대한해부학회지, 32.3(1999): 349-3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