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후각망울의 Dopamine성 신경세포

이용수 20

영문명
Dopaminergic Neurons in the Olfactory Bulb : A Differences in the Insectivore and Rodents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저자명
정영길(Young-Gil Jeong) 이남섭(Nam-Seob Lee) 원무호(Moo-Ho Won)
간행물 정보
『대한해부학회지』제32권 제3호, 361~37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식충목 (insectivore)에 해당하는 3종 (suncus, 고슴도치 및 두더지)의 동물과 4종 (흰쥐, 마우스, 야생등줄쥐, mongolian gerbil)의 설치류의 후각망울을 대상으로 tyrosine hydroxylase (TH)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대상동물의 주후각망울에 분포하는 dopamine성 신경세포의 분포의 특징을 밝히고, 2군간의 dopamine성 신경세포의 분포의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먼저 설치류에 대한 결과를 보면 야생등줄쥐, 흰쥐, 야생마우스, mongolian gerbil의 주후각망울은 바깥층으로부터 속층으로 가면서 후각신경섬유층, 사구체층, 바깥얼기층, 승모세포층, 속얼기층 및 과립세포층의 6층으로 구분되었고, 가장 속층에서는 백색질이 관찰되었으며 실험대상 설치류 4종중 흰쥐만이 후각망울게실 (olfactory ventricle)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구체층을 이루는 사구체 (glomerulus)의 크기는 본 실험대상 설치류의 경우 유사 (50~100 μm)하였으나 흰쥐의 경우가 약간 크게 (약 60~110 μm) 관찰되었다. 실험대상 설치류의 주후각망울은 TH, DBH 및 PNMT 항체중 TH 항체에만 면역반응을 보여 모두 dopamine성 신경세포로 확인되었다. TH 항체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세포는 4종류 설치류 모두 사구체주위세포가 주요한 dopamine성 신경세포군으로 관찰되었고, 이들은 모두 바깥얼기층을 이루는 신경세포에서도 면역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TH 면역양성반응을 보이는 신경세포의 수에는 차이가 있어 사구체주위세포와 바깥얼기층의 경우 야생등줄쥐에서 가장 많은 면역반응신경세포체가 관찰되었으며, 흰쥐, mongolian gerbil, 야생마우스의 순이었다. 또한 야생등줄쥐의 경우에는 승모세포층과 속얼기층을 이루는 일부 세포에서도 면역반응을 보여 같은 설치류라도 차이를 보였다. 한편 식충류의 경우 suncus, 고슴도치 및 두더지의 주후각망울의 일반조직학적 소견은 설치류와 같은 6층의 층판배열과 중앙에 백색질을 가지고 있었다. 후각망울게실의 경우 두더지를 제외한 suncus와 고슴도치에서 관찰되었는데 특히, 고슴도치의 후각망울게실이 본 연구에서 실시한 모든 대상 실험동물중 가장 크게 관찰되었다. 사구체의 크기도 고슴도치가 다른 실험대상동물에 비해 컷으며 (100~200 μm), suncus나 두더지의 경우는 설치류의 것과 유사한 크기였다. 한편 TH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suncus와 고슴도치 주후각망울에서는 TH 양성신경세포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TH 항체에 면역반응을 보이는 신경섬유는 suncus와 고슴도치 모두에서 관찰되었는데, suncus에서는 다수가 관찰된 반면, 고슴도치의 경우 극히 소수만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같은 식충류인 두더지의 경우 그 수는 적지만 사구체주위세포와 바깥얼기층을 구성하는 일부세포에서 TH항체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신경세포체가 관찰되어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각 동물마다 후각망울의 사구체주위세포가 가지고 있는 신경전달물질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사구체주위세포가 dopamine을 가지고 있지않는 동물 즉, suncus와 고슴도치의 경우 어떤 신경전달물질이 사구체주위세포에 포함되어 있는지는 계속되는 연구에서 확인할 필요가 있고 이는 궁극적으로 냄새신호의 전달과 신경전달물질과의 관계 뿐 만 아니라 존재부위에 따른 dopamine의 기능을 명확하게 규명하는데도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se studies document species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the catecholamine-synthesizing enzyme tyrosine hydroxylase (TH) within the main olfactory bulb (MOB) of a number of rodents and insectivore species including the rat, wild mouse, mongolian gerbil, stripped field mouse (apodemus agrarius), hedgehog, mole, laboratory shrew (suncus murinus). TH-containing neuronal perikarya were observed in the MOB of the both species of the rodents and insectivore except the hedgehog and laboratory shrew (suncus murinus). None of these cell groups displayed either dopamine-β-hydroxylase (DBH) or phenylethanolamine-N-methyltransferase (PNMT). The number of stained somata and their intensity varied such that label was most prominent in the stripped field mouse followed in decreasing order by the rat, mongolian gerbil, wild mouse and mole. The vast majority of such cells occurred in the glomerular layer as periglomerular cells surrounging the glomeruli of the stripped field mouse, rat, mongolian gerbil, wild mouse and moles. Numerous additional cells were present in the external plexiform layer (EPL) and mitral cell layer (MCL). These often displayed long ascending immunoreactive processes and appeared to correspond to tufted cells. Also a few smaller, multipolar cells were present in the internal granular layer scattered among the granule cells. However, the hedgehog and laboratory shrew displayed no perikaryal staining in the MOB. In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TH is present in the MOB of stripped field mouse, rat, mongolian gerbil, wild mouse and moles but is not found in the MOB of the hedgehog and laboratory shrew, or that species differences exist in the level of TH.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길(Young-Gil Jeong),이남섭(Nam-Seob Lee),원무호(Moo-Ho Won). (1999).후각망울의 Dopamine성 신경세포. 대한해부학회지, 32 (3), 361-374

MLA

정영길(Young-Gil Jeong),이남섭(Nam-Seob Lee),원무호(Moo-Ho Won). "후각망울의 Dopamine성 신경세포." 대한해부학회지, 32.3(1999): 361-3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