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6-OHDA가 흰쥐 등쪽솔기핵내 도파민성 신경세포와 별아교세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

영문명
Cytotoxic Effect of 6-OHDA on the Dopaminergic Neurons and Astrocytes in the Dorsal Raphe Nucleus of the Rat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저자명
홍은석(Eun Seog Hong) 남성안(Seong Ahn Nam) 조승묵(Seung Mook Jo) 강태천(Tae-Cheon Kang) 원무호(Moo Ho Won) 최창도(Chang Do Choi)
간행물 정보
『대한해부학회지』제32권 제4호, 553~561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08.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경독성물질인 6-hydroxydopamine (6-OHDA)이 중추신경계통 내 도파민성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별아교 세포들의 반응을 형태학적으로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흰쥐의 가쪽뇌실에 6-OHDA를 투여한 후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광학현미경 하에서 등쪽솔기핵 내 도파민성 신경세포에 나타나는 퇴행성변화와 주위 별아교세포들의 반응양상 등을 경시적으로 제 3일, 제 5일, 제10일 및 제20일에서 관찰하였던 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6-OHDA에 의한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퇴행성변화는 약물투여후 제 3일군에서 세포돌기가 팽대되고, 제 5일군과 제 10일군에서는 세포돌기의 소실과 함께 세포체가 위축되었고, 제20일군에서는 세포체가 소실되었다. 또한 6-OHDA에 의해 도파민성 신경세포들의 손상이 진행되면서 별아교세포들의 반응양상은 제 5일에서 대조군에 비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제20일에 이르러 최고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6-OHDA가 중추신경계통 내 도파민성 신경세포들에 선택적이고 강한 세포독성을 유발하여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고, 세포 손상이 시간 경과에 따라 진행되면서 주위의 별아교세포들이 지속적으로 증가된 활동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rify the cytotoxic effects of 6-hydroxydopamine (6-OHDA) on the dopaminergic neurons and astrocytes in the dorsal raphe nucleus (DRN), and to investigate neurodegenerative changes by immunohistochemistry. Adult male rats (Sprague-Dawley strain) weighing from 250 to 350 g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6-OHDA (100 μg dissolved in 0.1% ascorbic acid) was injected into the lateral ventricle of the rat brain with the Hamilton syringe. The control rats were treated with the similar volume of 0.1 % ascorbic acid. The rats were sacrificed at the 3rd, 5th, 10th and 20th day, respectively, after the injection of 6-OHDA. The cytotoxicity of 6-OHDA resulted in severe neurodegeneration of the dopaminergic neurons in the DRN. In the 3rd day, the dopaminergic fibers were dilated. In the 5th and 10th days, the dopaminergic fibers were depleted, and dopaminergic cell bodies were shrunken. In the 20th day, the dopaminergic cell bodies were almost completely disappeared. Astroglial reactions induced by 6-OHDA were also observed in the DRN. In the 5th day, astrocy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value. The value were reached at its maximum by the 20th day.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it suggests that 6-OHDA may act as a specific neurotoxin to dopaminergic neurons in the DRN, and induce severe neurodegenerative changes. Also, it suggests that the astroglial reaction in the DRN is gradually activated during the neurodegerative chang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은석(Eun Seog Hong),남성안(Seong Ahn Nam),조승묵(Seung Mook Jo),강태천(Tae-Cheon Kang),원무호(Moo Ho Won),최창도(Chang Do Choi). (1999).6-OHDA가 흰쥐 등쪽솔기핵내 도파민성 신경세포와 별아교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해부학회지, 32 (4), 553-561

MLA

홍은석(Eun Seog Hong),남성안(Seong Ahn Nam),조승묵(Seung Mook Jo),강태천(Tae-Cheon Kang),원무호(Moo Ho Won),최창도(Chang Do Choi). "6-OHDA가 흰쥐 등쪽솔기핵내 도파민성 신경세포와 별아교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해부학회지, 32.4(1999): 553-5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