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목관절 가쪽인대의 형태계측과 자기공명영상

이용수 73

영문명
Anatomic Variations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s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저자명
정인혁(In Hyuk Chung) 이혜연(Hye Yeon Lee) 서진석(Jin Suck Suh) 이우형(Woo Hyeong Lee) 장준섭(Jun Seop Jahng)
간행물 정보
『대한해부학회지』제31권 제2호, 273~279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8.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발목관절의 가쪽인대는 앞 및 뒤목말종아리인대와 발꿈치종아리인대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인대의 크기와 변이를 구명 하고 자기공명영상을 얻은 같은 발을 해부하여 영상과 비교 관찰하므로서 이들 인대의 관찰율을 높이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재료는 한국사람 발 67개를 사용하였다. 이 중 37개는 해부만 하였고, 나머지 30개에서는 자기공명영상을 얻은 후 해부를 하였다. 앞목말종아리인대는 72.4%에서 두 띠를 이루었다. 이 인대의 길이와 두께는 각각 20.9 mm, 1.8mm였고, 너비는 위와 아래 띠가 각각 7.0 mm, 4.7mm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신호강도가 낮은 두꺼운 띠나 여러 개의 선으로 나타났고 가로영상에서는 모든 예 그리고 관상영상에서는 82.8%에서 관찰되었다. 뒤목말종아리인대는 하나의 끈을 이루는 경우가 53.2%였고, 나머지는 두 띠로 구분되었다. 이 인대의 길이, 너비, 두께 및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는 각각 21.8 mm, 7.3 mm, 3.4mm, 22.6�였다. 뒤목말종아리인대는 가로영상 모든 예에서 관찰되었고 앞목말종아리인대와 적어도 한 영상에서 같이 보였다. 관상영상에서는 목말뼈와 가쪽복사 사이에 낮은 신호강도로 균일하지 않은 두꺼운 띠로 나타났고 한 예를 제외하고 관찰되었다. 발꿈치종아리인대는 두 다발을 이루는 경우가 8.5%였다. 이 인대의 길이, 너비, 두께는 각각 25.3 mm, 5.2 mm, 2.3mm였고, 시상면 및 관상면과 이루는 각도는 각각 평균 20.7˚(범위 5~60˚), 27.0˚ (범위 7~50˚)였다. 자기공명영상 가로 및 관상영상에서 발꿈치종아리인대의 관찰율은 72.4%와 75.9%로 가장 낮았으며 잘린 각도에 따라 짧은 선 또는 점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lateral ankle ligaments consisted of the anterior talofibular, posterior talofibular and calcaneofibular ligament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mensions and anatomic variations of these ligaments and correlate with MR images. Sixty seven ankles of Korean adults were used. Among these 37 ankles were only disseted and 30 ankles were dissected after getting MR images. The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consisted of two bands in 72.4%.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is ligament were 20.9mm and 1.8mm, respectively. The widths were 7.0 mm in the upper band and 4.7 mm in the lower band. The talofibular ligament appeared as a hypointense thick band or several lines in MR images. This ligament was observed in 100% of the axial MR sections and 82.8% of the coronal sections. The posterior talofibular ligament showed single thick band in 53.2% while others showed as two bands. The length, width, thickness and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posterior talofibular ligament were 21.8 mm, 7.3 mm, 3.4 mm and 22.6�, respectively. In coronal MR images this ligament appeared as a hypointense and heterogeneous thick band between the lateral malleolus and the talus. All anterior and posterior talofibular ligaments were observed in axial MR images with at least one same MR plane showing the two ligaments together. The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the calcaneofibular ligament were 25.3 mm, 5.2 mm and 2.3 mm, respectively. It was composed of two bands in 8.5%. The angles to the coronal and sagittal planes and this ligament were 20.7�(range 5˚~60˚) and 27.0˚(range 7˚~50˚), respectively. The calcaneofibular ligament was seen as a hypointense short line or dot depending on the cut plane. It was observed in 72.4% of the axial MR images and in 75.9% of the coronal images but was better imaged in the coronal plan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인혁(In Hyuk Chung),이혜연(Hye Yeon Lee),서진석(Jin Suck Suh),이우형(Woo Hyeong Lee),장준섭(Jun Seop Jahng). (1998).발목관절 가쪽인대의 형태계측과 자기공명영상. 대한해부학회지, 31 (2), 273-279

MLA

정인혁(In Hyuk Chung),이혜연(Hye Yeon Lee),서진석(Jin Suck Suh),이우형(Woo Hyeong Lee),장준섭(Jun Seop Jahng). "발목관절 가쪽인대의 형태계측과 자기공명영상." 대한해부학회지, 31.2(1998): 273-2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