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녀공학 중등학교에서의 성별 교육실태와 향후과제

이용수 1366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정해숙 유진은 김미윤
간행물 정보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09 연구보고서 11, 1~401쪽, 전체 40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1.12
40,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 연구목적 이 연구는 중등교육단계에서의 남녀공학교육의 성과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현행 남녀공학교육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여 성평등한 남녀공학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연구내용 첫째, 중등교육단계에서의 남녀공학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관련 이론들을 검토하는 한편, 해외의 남녀공학교육 현황 및 정책동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학교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에서의 성차를 살펴보는 한편, 남녀공학 중·고등학교의 개별 학교단위 내신성적에서 나타나는 성차를 분석하였다. 셋째, 중등학교 교사들이 체험한 남녀공학에서의 성별교육 실태와 남녀공학교육의 장, 단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들을 정리·기술하였다. 넷째, 학업수행, 진로 선택, 학교생활, 정의적 특성 등 남녀공학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육경험 및 태도를 조사·분석하였다. 다섯째, 연구결과를 토대로 남녀공학 교육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남녀공학이 성평등한 교육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요구되는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3. 연구방법 가. 문헌연구 및 자료수집 남녀공학정책이 도입된 1999년을 기점으로 지난 10년간 남녀공학의 현황을 「교육통계연보」원자료의 재분석을 통해 정리하고,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는 한편,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등 해외의 남녀공학교육 정책동향을 살펴보았다. 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연구 원자료 재분석 학교의 성별 유형에 따른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 성별 격차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5년간(2003∼2007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실시한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의 학업성취도 원자료(raw data)를 재분석하였다. 다. 남녀공학 중등학교 내신성적 수집 및 분석 남녀공학에서의 내신성적 성차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남녀공학 중 중학교 53개교와 고등학교 54개교를 지역 규모를 고려하여 표집한 후, 2008년 기준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배치고사 성적과 국어와 수학 두 개 과목의 2학기 기말고사 및 지필고사 성적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라. 남녀공학 중등학교 학생들의 교육경험 설문조사 남녀공학 학생들의 교육경험 및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중학교 3학년 학생 1,494명,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496명 총 2,990명(남학생 1,492명, 여학생 1,4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크게 학업수행, 진로선택, 학교생활, 정의적 특성 및 남녀공학에 대한 태도로 구성되었다. 마. 남녀공학교육에 대한 중등교사 대상 집담회 실시 남녀공학의 성별 교육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총 18명의 중등학교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남녀공학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태도를 묻는 교사 집담회(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전국을 서울/인천/경기권, 부산/대구/경상권, 광주/대전/충청권의 3개 권역으로 나눠, 총 4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바. 전문가 자문회의 교육에서의 젠더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교수와 연구자, 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 및 시·도 교육청 연구사를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하고, 연구 진행 상황 점검, 학생조사를 위한 표본설계와 조사도구 검토, 학업성취도 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의 범위와 내용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bstract Current Situation in Secondary Coeducational Schools and the Future Tasks for Gender-Equal Coeducation Hae-Sook Chung Jin Eun Yoo Mi Yun Kim This study seeks to provide empirical data on state of coeducation in secondary level, and further to present what steps must be taken in order to improve current situation and achieve gender-equal education in the foreseeable fu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We firstly revaluated the state of coeducation through reanalyzing raw data from the past ten years’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1999∼2008), and examined four foreign countries’ policy trends on coeducation. Second, we reanalyzed the raw data of academic performance at the national level, and examined academic records of students from 107 coeducational schools(53 middle schools, 54 high schools) in order to analyze the gap between girl and boy students in terms of academic performance. Third, a survey was carried on a total of 2,990 students(1,492 boy students, 1,498 girl student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8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and conclusions. First, there remains a strong tendency toward single-sex education compared to western countries although the number of coeducational schools has continued to increase during the last ten years, accounting for 74.0% of the total number of middle schools and 53.2% of total number of high schools. Second, coeducation hasn’t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reducing girl students’ tendency toward traditional gender-stereotyped career choices. Third, coed middle schools have higher ratio of students who go on to general(or special-purpose) school compared to single- sex middle schools. On the other hand, single-sex high schools have higher ratio of students who go on to university compared to coed high schools. Fourth, coed middle schools have higher academic performance than single-sex middle schools while high schools have the opposite result. Further, each gender has certain academic subjects with higher performance and the result shows consistent gender-stereotypes; Girl students have higher performance in Korean and English while boy students have higher performance in mathematics and science both in coeducational and single-sex schools regardless of their academic level. Fifth, girl student’s superiority in overall academic records at coed schools is due to their higher entrance score. Sixth, both girl and boy students from coed schools are more relationship-oriented. Still, the gap between girl and boy students in terms of appearance concern and intersexual relationship is wider than single-sex school. Seventh, all-boys schools have the most serious level of school violence and sexual harrassment both in high and middle schools. Eighth, students from coed schools experience receiving more gender-stereotyped comments from their teachers. However, any specific advantages of coeducation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gender-equality awareness or social competence haven’t been found. Our suggestions on improving co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political support is required to develop coeducation into better place for gender-equity education. Second, well-organized research on a national level is required to examine academic achievement both in coeducational and single-sex schools. Third, detailed guidelines are requ

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범위, 용어의 정의
가. 연구 내용
나. 연구 범위
다.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중등교육단계에서의 남녀공학교육 현황
가. 학교 및 학생
나. 교육과정
다. 졸업 후 진로양상
라. 교사 현황
마. 소결
2. 남녀공학교육 관련 선행 연구
가. 학업수행
나. 정의적 특성과 사회성 발달
3. 남녀공학교육의 국제적 동향
가. 미국
나. 영국
다. 호주
라. 일본
마. 소결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문헌연구 및 자료수집
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연구 원자료 재분석
나. 남녀공학 중등학교 내신성적 수집?분석
2. 학생 설문조사
가. 조사대상
나. 조사도구
3. 교사 집담회
가. 집담회의 목적
나. 집담회 방법 및 참석자의 특성
다. 집담회 논의 항목
4. 자문회의
Ⅳ. 학업성취도에서의 성별 차이
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가. 중학교
나. 고등학교
2. 학교 내신성적
가. 중학교
나. 고등학교
3. 소결
가. 중학교
나. 고등학교
Ⅴ. 남녀공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태도
1. 교과활동
가. 수업태도 및 선호교과
나. 내신성적
2. 교과외 활동 및 생활지도
가. 교과외 활동
나. 생활지도
3. 남녀공학에 대한 태도
가. 학급구성
나. 장·단점 및 개선방안
4. 소결
Ⅵ. 남녀공학 학생의 성별 교육경험
1. 학업수행
가. 교과에 대한 태도
나. 질의응답 및 발표 참여 여부
다. 수행평가
라. 개인학습
2. 진로선택
가. 계열선택
나. 희망 교육수준 및 전공
3. 학교생활
가. 학교분위기
나. 임원경험
다. 외모에 대한 관심 및 이성교제
라. 성희롱 및 학교폭력
마. 성차별
4. 정의적 특성
가. 성차 및 성역할의식
나. 사회성
5. 남녀공학에 대한 태도
가. 고등학생
나. 중학생
6. 소결
Ⅶ. 결론 및 향후과제
1. 요약 및 결론
2. 향후과제
참고문헌
부록
1. 부표
2. 남녀공학 중등학생의 내신성적 조사표
3. 학교유형에 따른 중등학생의 교육경험 및 태도 조사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해숙,유진은,김미윤. (2009).남녀공학 중등학교에서의 성별 교육실태와 향후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9 (11), 1-401

MLA

정해숙,유진은,김미윤. "남녀공학 중등학교에서의 성별 교육실태와 향후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9.11(2009): 1-4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