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erleau-Ponty 몸 담론의 교육적 의미 탐구

이용수 632

영문명
A Study on Educational Meanings of the Body in Philosophy of Merleau-Ponty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이병승(Lee, Byung-Seong)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15집,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소고는 몸의 현상학자로 알려진 메를로-퐁티의 몸 담론을 고찰한 후 그의 담론을 토대로 오늘날 우리 교육의 현실을 반성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앞에서 논의한 내용들을 근거로 연구자가 내린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메를로-퐁티의 몸 담론으로부터 건져낼 수 있는 가장 큰 수확은 지금까지 교사와 부모에게 사소하고 지엽적인 것으로 보였던 몸의 작용과 몸의 현상들을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메를로-퐁티의 몸 담론은 몸이 인식의 근원이며 지식과 경험의 원천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그의 담론은 몸의 작용이 아니고는 그 어떤 인식도 불가능하며 그 어떤 지식과 경험의 축적도 불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자연히 몸이 교육의 출발점이어야 한다는 점을 환기시켜준다. 셋째, 메를로-퐁티의 몸 담론은 학습이 외부에서 주어지는 자극에 반응할 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주체로서의 몸이 생활세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발견해 가는 능동적인 과정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우리는 학습의 내용과 방법에 관심을 가지기보다는 학습의 주체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discourse on human body in philosophy of Merleau-Ponty and reflect some educational problems of today based on his discourse. It can be concluded from w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Firstly, researcher has clarified meaning of concept of ‘body' in which Merleau-Ponty has said in his works as such Phenomenology of Perception. Although it's concept is ambiguous, I have clarified it in four categories: a priori complexity, original root of perception, intention into the world and unclear ambiguity. To him, body's perception is the root of reason, consciousness, and all experience. So, without activities of body's perception, no rational mind, emotional feeling, and conative capacity arise. His discourse on body make us rethink or reflect on relation of mind and body, and knowledge and body. As he said, if knowledge and experiences based upon human body, educators will be interested in body of students more seriously in teaching-learning activity Secondly, according to Merleau-Ponty, human being learns from embodied experience. To him, learning is not the results of stimulus-response. For human is not a passive being who response only to outside world, but an active being who learns new knowledge or experience through his perception of body. All experiences are not educative. When some experiences are based on human body, it is called as 'educative experience'. Therefore, educators make effort to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are based on embodied experiences. Thirdly, student's body in schooling today has been controlled unilaterally by rules and disciplines prescribed by teachers, masters, and educational authorities. From the discourse of Merleau-Ponty, body of students must not be controlled, but must be free from non-educative constraints. School must not bring up slaves. Therefore, to perform intrinsic function of school, educators must be interested in body of students, and more must respect for various expressions of body. In the end, researcher would like be to emphasize that human body should be always studied as central theme in educational theories and practic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승(Lee, Byung-Seong). (2004).Merleau-Ponty 몸 담론의 교육적 의미 탐구. 교육사상연구, 15 , 1-19

MLA

이병승(Lee, Byung-Seong). "Merleau-Ponty 몸 담론의 교육적 의미 탐구." 교육사상연구, 15.(2004):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