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시 아이덴티티 구현을 위한 공공디자인 평가 틀의 제안

이용수 234

영문명
A Proposal of a Evaluation Model in Public Design Area for the Implementation of City Identity: Based on the Cultural Value of Public Space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서혜옥(Seo, Hye-Ock)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27권 제3호, 61~7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9.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는 도심 재정비를 비롯한 지역개발과 공공 디자인에 열중하고 있다. 이는 산업사회를 지나면서 그동안 간과되었던 주거환경, 즉 삶의 질적인 욕구를 채우고자하는 것과 새로운 정보・서비스 시대에 맞는 도시환경 체제의 전환기로서 일어나는 현상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공공 디자인 개발에 있어 기능위주의 하드웨어적인 장치의 정비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심미적이고 문화적인 해결법이 줌ㄱ되고 있다. 즉 공공디자인은 도시의 정체성을 제고하고, 도시가 안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풀기 위한 접근방식으로 사회문화적인 인식이 선결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도시 아이덴티티를 구현할 수 있는 공공디자인 평가 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공공이라는 단어 자체에 많은 이념적 지향성이 내포되어 있기에 공공 디자인에 대한 담론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평가를 위한 제도적 틀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평가 틀은 지역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범위 내에서, 지속가능성, 지역문화의 고유성, 참여가능성, 경제적 효율성으로 제안되었다. 물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는 지화하기 마련이고, 평가 대상 또한 변하겠지만 미적인 문제해결 방법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 속에서 지역 문화적 요소를 통해 도시 정체성을 구현하는 시각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City identity has been formed generally throughout images of the urban space rather than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itself. Each place of the urban space should be able to offer diverse experience to the citizens so that they can share and experience its symbolic, pract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therefore allowing more reliable and firm city identity. Because if this, public design refers the design for all the areas and objects used publicly, mainly including public spaces, facilities and information, as highly important element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al image.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lture as a lifestyle of urban space and to perform public design for people as place containing. As a key element of improvement of urban and identity establishment, public design provides and opportunity to improve local culture and change urban development into cultural industry. In addition, in order to help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the citizens and create a new type of culture of living, public design should be in harmony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become more comfortable and affluent living space and furthermore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y, by elevating physical environmental level in a city in general. Therefore, to develop city identity for both of the city and the citizens, their ordinary life should be accumulated into the space as a cultural aspect and this aspect should form the specialized culture likewis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혜옥(Seo, Hye-Ock). (2009).도시 아이덴티티 구현을 위한 공공디자인 평가 틀의 제안. 상품학연구, 27 (3), 61-72

MLA

서혜옥(Seo, Hye-Ock). "도시 아이덴티티 구현을 위한 공공디자인 평가 틀의 제안." 상품학연구, 27.3(2009): 6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