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산 어류에 기생하는 포자충에 관한 연구 1. 메기(Silurus asotus)와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에서 검출된 포자충

이용수 26

영문명
Studies on Myxosporidian parasites from Korean fishes 1. Myxosporidian parasites from catfish (Silurus asotus) and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발행기관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저자명
김영길(Young-Gill Kim) 박성우(Sung-Woo Park) 최민철(Min-Chul Choi)
간행물 정보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제5집, 210~215쪽, 전체 6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해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7.03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어류에 기생하는 포자충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기생 부위에 따라 피해 정도가 크게 차이가 나지만 그 생활사가 밝혀진 종은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지금까지 담 수산 메기 (Silurus asotus) 에 서 검출된 Myxobolus miyairii에 관해서는 Kudo (1919)가 일본 산 담수어에서 발견 기재한 이후. Bychowsky(1968)가 러시아의 아므르강산 메기의 소화관 내벽에서. Chen and Chenglun (1998)은 중국산 메기와 담수어인 Erythroculter ilishaeformis. Sarcocheilichthys nigripinais (Gunther). Silurus meridionalis의 체표. 아가미. 창자. 간 및 새궁에서 검출하여 보고한 바 있으나 한국산 양식 메기로부터 포자충 검출에 관한 보고는 없다. 한편 해산 어류의 포자충에 관해서 Yukio et al. (1990)가 숭어 (Mugil cephalus)의 장간막. 뇌 및 내장에 감염되어 측만증을 일으키는 원인충. Myxobolus spinecurvatura (Myxosporea: Bivalvulida)를. 江草 등 (1989)은 숭어의 비늘 밑에 기생하여 피부병을 일으키는 원인충을 포자충. Myxobolus sp. 라고 하였다. 또 Egusa(1985)는 양식 방어의 뇌에서 M. buri를. Sakaguti et al. (1987)은 양식 방어의 측만증 원인충이 M. buri라고 하였으며, Egusa et al. (1990)은 숭어의 피부병을 일으키는 원인충은 M. episqanalis로 기재하였다. 또 Theodore et al. (1977)은 bluefish. Pomatomus saltatrix의 심장과 근육에서 Henneguya sebasta를 . Awakura and Kimura (1977)는 일본 북해도산 연어 Coho salmon (Oncorhnchus kisutch)의 훈제품 제조시 근육에 기생한 포자충. H. salmonicola의 영양체 때문에 품질 저하를 일으킨다고 하였고, Minchew and Sleight (1977)은 pumpkinseed sunfish의 눈에 기생하는 포자충을 H. episclera라고 하였다. 해산어에 기생하는 Henneguya속 포자충에 관해서 최근 Eiras (2002)가 지금까지 보고된 Henneguya속 포자충 146종의 크기와 형태적 특징. 숙주명, 기생부위, 저자명에 대하여 비교표를 작성하여 보고한 바 있다. 한편 망둑어류에 기생된 포자충에 관해서는 Chen and Chenglun (1998)이 중국산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의 아가미와 신장에서 M. acanthogobii Hoshina, 1952와 풀망둑 (Acnathogobius hasta)의 아가미에서 H. multinorpha Li et Wang, 1993을, 또한 Ozaki and Ishizaki (1941)는 일본산 검정망둑 (Tridentiger obscurus)의 외피에서, 또 Hoshina(1952)는 문절망둑의 작은 창자에서 H. tridentigeri를 검출하여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한국산 문절망둑의 근육에 다량으로 기생한 Henneguya속 포자충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는 한국산 어류에 감염된 포자충의 종류와 병해를 조사할 목적으로 2001년 9월 2002년 8월까지 양식중인 정읍산 메기와 만경강하구의 기수구역에서 채집한 문절망둑에서 한국산 미기록 종의 포자충을 검출하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한다.

영문 초록

Thirty five catfish (Silurus asotus) cultured in a fish farm of Jungeup and 222 wild goby (Acanthoguobius flavimamis) caught from the estuary of Mankyoung River. Chonbuk province of Korea were examined the prevalence of myxosporidian infestation, A lot of white spherical myxospridian cysts in the intestinal epithelium of catfish and the muscle of goby were easily found, The cysts size was 56 × 73 (42~77 × 59~93 mm) in catfish and 2.43 × 0,95 mm in goby, The infection rate (%) was 88.4+ in catfish and 89,4 in goby, The Myxosporidian, from the intestine of catfish and from the musculature of goby were identified as, Myxobolus mixairii and Henneguyd tridentigeri .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spores under a light microcope. Dimension(mm) of fresh spores of Myxobolus miyairii: length. 11.0~12.0: width. 5.0~6.0: thickness. 3.5~4.0: polar capsule: length. 5.0~505: thich-ness: 1.5~2.0: polar filament: length. 40~45. Dimensions(㎛) of fresh spore of Henneguya. tridentigeri: length. 10.0~12.0: width 6.0~8.0: thickness. 4.8: polar capsule: length. 4.6: thickness. 2.6 iodinophilic vacuole: 2.8 × 2.4. No significant pathological change was found from the infected fish. This is the first report on M. miyairii and H. tridentigeri from fish species in Korea.

목차

Abstract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사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길(Young-Gill Kim),박성우(Sung-Woo Park),최민철(Min-Chul Choi). (2004).한국산 어류에 기생하는 포자충에 관한 연구 1. 메기(Silurus asotus)와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에서 검출된 포자충.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5 , 210-215

MLA

김영길(Young-Gill Kim),박성우(Sung-Woo Park),최민철(Min-Chul Choi). "한국산 어류에 기생하는 포자충에 관한 연구 1. 메기(Silurus asotus)와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에서 검출된 포자충."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5.(2004): 210-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