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場所의 宗敎的 慣性: 全州市 僧岩山의 宗敎景觀을 中心으로

이용수 453

영문명
Religious Inertia Embedded in the Signifying Place of Mt. Seungam in Jeonju City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최진성(Jin-Seong Choi)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16권 제2호, 53~6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8.0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소의 관성에 관한 것으로 시대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선택되는 특정 장소에 관한 연구이다. 이 장소 가운데 종교경관의 장소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에 의해 구성되어져 왔다는 점에서 장소의 관성이 일종의 지리코드로서 종교장소를 이해 및 해석하는 수단이 된다고 생각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한 사례로 전주시의 승암산을 대상으로 하였다. 승암산 일대에는 후백제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교경관들의 장소로 끊임없이 선택되어 왔다. 즉 후백제와 고려시대에는 불교경관이, 조선 시대에는 유교정관이, 그리고 일제시대에는 천주교경관들이 주로 형성되었다. 전주에서 다른 장소보다도 유난히 승암산 일대에 제도종교의 경관들이 되풀이되어 형성된 주된 이유는 성지로서의 종교적 상징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달리 말해서 승암산은 일종의 성지라는 지리적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에 장소의 종교적 관성이라는 지리적 현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따라서 장소의 종교적 관성은 종교적 장소를 이해하는 중요한 지리코드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what I would call a religious inertia of place. The tenn inertia used here refers to a sustaining symbolic power of place. Of various landscape types, that associated with religions which represents visual images of divine meanings and ideology coming out of a certa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has a particularly strong inertia The religious inertia shapes up a distinct geographical code and therefore can be a prime means of capturing the nature and identity of a place. To illustrate, I suggest a case of Seungam Mountain of Jeonju City, North Cholla Province. The mountain landmark of the city has been interpreted differently at every turn of dominating religious regimes. At the outset, it was Buddhism that out of universalising religions left indelible traces upon the landscape during the period of Later Baekje and Koryo Korea. The Buddhist landscape was then overlaid with the Neo-Confucian one during the Chosun Korea which was in turn joined by the sacred icons and images of Catholicism in the 20th century. As a consequence Mt. Seungam today displays a multi-layer landscape features of Buddhism, Neo-Confucianism and Catholicism at or around the place it occupies. With various religious symbolic meanings added, the status of the mountain has been elavated into the realm of holy place. Seungam Mountain at a sacred and holy place has been itself a geographical code and at the same time a rich text for landscape interpretation.

목차

요약
Abstract
1.머리말
2.종교경관의 장소에 대한 해석적 접근
3.승암산 일대의 종교적 관성
4.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성(Jin-Seong Choi). (2004).場所의 宗敎的 慣性: 全州市 僧岩山의 宗敎景觀을 中心으로. 문화역사지리, 16 (2), 53-65

MLA

최진성(Jin-Seong Choi). "場所의 宗敎的 慣性: 全州市 僧岩山의 宗敎景觀을 中心으로." 문화역사지리, 16.2(2004): 53-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