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분석

이용수 369

영문명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Learners' Nonacademic Self-Concept,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일태(Kim Il Tae) 허남진(Heo Nam Jin)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2집 제1호, 75~9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5.0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 등의 변인들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가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학습자들의 비학업자아개념 수준별 그들의 학교적응의 차이 학습동기의 수준별 그들의 학교적응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비학업 자아개념, 학습동기가 학교적응과 어느 정도의 상관을 맺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들은 학교적응의 하위요인들과 어느 정도의 상관이 있으며, 특히 어느 하위요인간의 상관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비학업자아개념 및 학습동기 등의 변인들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의 설명·예측 정도를 밝히고자 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의 상·중·하 수준별로 학교적응은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학습자들은 학교에 대한 적응을 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학업자아개념과학습동기 및 학교적응은 의미있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특히,비 학업자아개념,학습동기와 가장 큰상관을 보인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은 각각 학교친구적응과 학교수업적응이었다. 셋째,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는 학교적응에 의미있는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중에서도중·고등학교 학습자들의 학교 적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도덕자아개념과 계속동기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examination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secondary school learners' nonacademic self-concept,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examination sampled middle/high school learners in Seoul and other areas.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data collection were 「Self-concept Scale」 (Kim, Yong-Rae, 1995), 「Learning motivation Scale」 (Kim, Yong-Rae, 2000)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Scale」 (Kim, Yong-Rae, 2000). The collected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WIN(ll.0V) program, and analysis Mean score(M), Standard Deviation(SD), Zero Order Correlation(r)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All statistic values were tested by t-test and F-test in the significant level of p<.05. The research shows the following results noticeable: First, There were most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related adjustment according to the nonacademic self-concept and the upper, middle and low levels of learning motivation(p<.001). Second, Nonacademic self-concept,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hird, Nonacademic self-concept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s on Korea secondary school learners' school-related adjustment respectively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변인간의 관계분석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및 해석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일태(Kim Il Tae),허남진(Heo Nam Jin). (2004).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분석. 열린교육연구, 12 (1), 75-96

MLA

김일태(Kim Il Tae),허남진(Heo Nam Jin).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분석." 열린교육연구, 12.1(2004): 75-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