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인의 긍정적 정서

이용수 793

영문명
Positiv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저자명
이훈구(Hoon Koo lee)
간행물 정보
『심리과학』제6권 제2호, 45~6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12.0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먼저 긍정적 정서란 무엇인가에 관해 검토하였다. 가장 보편적이고 측정가능한 정의는 행복과 기쁨이란 것이 밝혀졌다. 행복은 인지적 측면의 긍정적 정서인 반면 기쁨은 정서적 측면의 긍정적 정서이다. 정서를 교차문화적으로 연구할 때 어떤 방식으로 취하는 것이 좋은가를 검토한 결과 정서를 하나의 스크립트(script)로 간주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판단되었다. 한국인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국내연구와 국제연구를 찾아보았는데 주로 주관적 안녕(인지적 측면의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앞으로 긍정적 정서의 종류와 그 내용을 보다 더 확대하고 그에 관한 한국적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영문 초록

Before discussing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s experiences of positive emotions, the present paper reviewed the definition of positive emotion reported by the scholars of relevant fields. It was found that little agreement has been made among scholar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positive, emotions. However, no scholar denies mat happiness and pleasantness are the most common factors of positive emotions. The difference between happiness and pleasantness lies in strength of emotion. In general, it is believed that happiness includes tepid and contentment, whereas pleasantness passionate joy and ecstacy. The present paper focused on the two types of happiness. One is cognitive and the other emotional. Cognitive happiness represents the satisfaction of various sections of lives reported by subjects. This kind of happiness is cognitive because subject evaluate their happiness through cognitive appraisal and judgement. In contrast, emotional happiness is measured by the subject's emotional reports experienced during the part several weeks. Next, the paper discussed about the fundamental issues in cross cultural studies on emotion such as whether cultures share same positive emotional prototypes or they experience different nature of positive emotions, and whether antecedents as well as consequences of positive emotions are different or not. It was suggested in this paper that cross cultural emotional studies had to deal with emotions as emotional script rather than just fractions of emotion experiences. Finally, the paper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es on subjective wellbeing or happiness of Koreans studied in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happiness of Koreans was at intermediate level among people in many countries and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happiness among Koreans were 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needs including satisfaction in family life, job and self realization, wherea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education and income did contribute to the happiness but with less.

목차

1. 긍정적 정서란 무엇인가?
가. 행복과 기쁨
나. 행복이론
2. 정서의 교차문화적 비교
3. 한국인의 주관적 안녕
가. 한국인의 주관적 안녕수준
나. 주관적 안녕의 결정요인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훈구(Hoon Koo lee). (1997).한국인의 긍정적 정서. 심리과학, 6 (2), 45-60

MLA

이훈구(Hoon Koo lee). "한국인의 긍정적 정서." 심리과학, 6.2(1997): 45-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