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고령 노부모들의 세대구성별 가구형태

이용수 316

영문명
Generational Household Composition of the Oldest Old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김정석(Cheong-Seok Kim)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17집 제3호, 3~1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0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세대 간 거주형태에 대한 연구가 적지 않지만 초고령층의 거주형태에 집중한 연구는 찾기 힘들다. 다른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거주형태에 있어서도 초고령층과 저고령층의 구분은 중요한 함의를 담고 있다. 저고령층의 자녀동거는 관련된 두 세대 간지원교환의 성격이 강하다면 초고령층의 자녀동거는 일방적인 노부모 부양의 성격이 강하다. 또한 초고령층의 자녀동거에서 부양을 담당하는 자녀 자신이 이미 중년 혹은 노년이기 때문에 이들이 갖는 부담은 매우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초고령층을 대상으로 이들의 거주형태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또한 거주형태도 자녀와의 동거여부가 아니라, 가구의 세대구성에 따라 1세대, 2세대, 3세대 가구로 구분하여 접근하고 있다. 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1998년과 2004년 노인조사자료를 통합해 다항로짓분석을 실시한 결과, 3세대 가구에 비해 1세대와 2세대 가구에 거주할 가능성과 그에 영항을 미치는 요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초고령 노인들이 1세대에 거주할 가능성은 노인들의 인구학적 특성, 인구학적 자원, 건강, 경제적 자원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체로 다양한 영역의 자원이 많을수록 단독 혹은 부부끼리 가구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에 비해 고려된 요인들에 따라 2세대에 거주할 가능성의 차이는 많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는 아마도 2세대이든 3세대이든 초고령 노부모를 직접 부양하는 것은 이들의 자녀이기 때문에 두 가지 형태간의 차이를 설명하는 요인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난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의 결과들은 초고령 노인들의 거주형태에 대한 보다 면밀한 연구 작업의 필요성을 제기 한다.

영문 초록

Building on th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living arrangements among the oldest old. In particular, the study considers three types of living arrangement based on generational composition of the household - one generational household in which elderly lives alone or with spouse, two generational household composed of oldest old parents and their elderly children, and three generational household composed of oldest old parents, elderly child, and adult grandchildren. The distintion between the second and the third one contains important and meaning implication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 among generations. The multinomial logit model analysis, using the pooled data set from 1998 and 2004 elderly survey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veals that the likelihood of living in one generational household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various factors considered in the study. The likelihood is positively related to health and economic resources. In the meanwhile, the likelihood of living in two generational household rather than in three generational household did not show patterns as clear as in the likelihood of living in one generation, although some factors turn out to be significant. This may be so because, for the oldest old in either two generational household or three generational household, the primary care giver would be their aged children. The study suggests further research for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iving arrangements of the oldest old.

목차

국문초록
Ⅰ. 연구목적과 배경
Ⅱ. 노인들의 거주형태에 관한 이론적 모형
Ⅲ. 자료 및 분석방법
Ⅳ. 초고령 노부모들의 세대구성별 가구형태에 관한 분석결과
Ⅴ. 전망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석(Cheong-Seok Kim). (2005).초고령 노부모들의 세대구성별 가구형태. 가족과 문화, 17 (3), 3-18

MLA

김정석(Cheong-Seok Kim). "초고령 노부모들의 세대구성별 가구형태." 가족과 문화, 17.3(2005): 3-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