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버세대 여성의 메이크업 교육요구도 분석
이용수 57
- 영문명
- Analysis of Makeup Education Needs of Silver Generation Women
- 발행기관
- 케이뷰티인학회
- 저자명
- 정현
- 간행물 정보
- 『케이뷰티인학회지』제4권 제3호, 26~37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의상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실버세대 여성은 외모 관리에 대한 욕구는 왕성하나, 정작 자신에게 어울리는 외모 관리 방법을 찾아서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버세대 여성들이 메이크업 교육을 이수했는지 여부에 따라 메이크업 교육에 대한 참여의향과 이들의 메이크업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 활동을 하는 심신이 건강한 60세 이상의 실버세대 여성 265명을 대상으로 2024년 8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통해 메이크업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메이크업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메이크업 교육 경험은 없다는 응답이 75.8%였으며, 메이크업 교육과 메이크업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82.2%, 메이크업 교육 참여의향이 79.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메이크업 교육 기간은 1개월 이내가 58.7%, 교육 횟수는 주 1회가 58.0%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이크업의 교육 내용의 요구도는 ‘메이크업의 기본과정, 주름커버 프로그램을 배우고 싶다’가 83%였고, 메이크업의 교육 장소의 요구도는 ‘복지센터에서 배우고 싶다’가 7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른 메이크업 교육 내용과 교육 장소의 요구도 차이에서는 ‘퍼스널컬러 메이크업을 배우고 싶다’(F=4,757, p<.01), 평생교육원에서 메이크업 교육을 진행했으면 한다‘(F=3,535,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모두 대체로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실버세대 여성들이 메이크업 교육 유경험자가 거의 없고, 교육 경험자 또한, 실버세대를 위한 메이크업 교육을 원하고 요구도에 맞는 교육과정이 개설되기를 희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버세대 여성을 위한 메이크업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여 국가적 차원의 메이크업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속 연구를 통해 실버세대의 메이크업 교육에 대한 수요와 동향을 심층 분석하여 실제적인 교육과정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Korean women of the silver generation demonstrate a strong interest in managing their appearance but often find it challenging to identify and adopt suitable beauty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willingness of silver generation women to participate in makeup education and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makeup depending on whether they have completed makeup educ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 to September 20, 2024, targeting 265 socially active, mentally and physically healthy women aged 60 and olde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75.8% of participants reported no prior makeup education, while 82.2% expressed a need for makeup education programs, and 79.9% showed a high willingness to participate. Among those interested, 58.7% preferred training durations of less than one month, and 58.0% opted for weekly sessions. Second, the most requested program was a “basic makeup course and wrinkle-covering techniques” (83%), and the most preferred training venue was a welfare center (76.6%). Third, younger participant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demands for programs such as personal color makeup (F=4.757, p<.01) and preferred lifelong education centers as venues (F=3.535, p<.05).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mand for makeup education for silver generation women and confirmed the need for development of makeup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We suggest that follow-up research be conducted to deeply analyze the demand and trends for makeup education for the silver generation and develop a practical curriculum.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