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만다라 명상 미술치료에 담긴 치유 요소 연구 – 메타인지적 관점에서

이용수 11

영문명
A Study on Treatment Elements in Mandala Meditation Art Therapy - From a Metacognitive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불교상담학회
저자명
임시연
간행물 정보
『한국불교상담학회 학술대회지』제21호, 25~5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25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만다라 명상 미술치료의 과정을 이론과 사례로 분석하고 체험의 구조와 치유 요소를 메타인지적 관점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만다라에는 불국토의 세계와 깨달음의 과정이 시각적 이미지로 담겨있으며, 만다라의 원 상징을 응용한 심리치료도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만다라 명상과 만다라 미술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법이라는 것을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로 먼저 고찰하고, 만다라 미술치료와 명상이 접목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체험한 참여자 1명의 사례를 기반으로 만다라 명상 미술치료의 치유 요소를 분석하였다. 특히 통찰명상과 연관되는 메타인지적 관점은 만다라 명상 미술치료의 치유적 효과를 인지심리학적인 영역에서의 가치를 증명할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만다라 명상 미술치료 체험 과정에서는 ‘만다라라는 안전한 공간’, ‘관 명상의 과정’, ‘심상 이미지의 대면’, ‘수용과 인정의 태도’, ‘인식의 전환과 통찰’이라는 치유 요소가 드러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안전한 공간은 거리두기 마음챙김의 조건으로, 관 명상은 거리두기 마음챙김의 과정으로, 심상 이미지는 부정적, 긍정적 신념 점검, 수용과 인정의 태도는 사고에 대한 관점 보기, 인식의 전환과 통찰은 신념의 수정과 반응의 조절로 설명할 수 있다. 만다라 명상 미술치료의 치유는 불법의 자각과 법의 체득에 기반한 통찰에 이르는 것이다. 만다라에 대한 메타인지적 관점으로의 해석은 만다라 명상에 담긴 통찰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확립하기 위한 과정임을 밝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of mandala meditation art therapy as theories a nd examples, and to interpret the structure of experience and healing elements from a m etacognitive perspective. In mandala, the world of Buddha-land and the process of enligh tenment are contained in visual images, and psychological therapy applying the original s ymbols of mandala is also actively conducted. This study first considered the theoretical b 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that mandala meditation and mandala art therapy are eff ective treatments. The healing elements of mandala meditation art therapy were analyzed based on the case of one participant who experienced a psychotherapy program in whic h mandala art therapy and meditation are combined. In particular, the metacognitive pers pective associated with insight meditation will help prove the healing effect of mandala meditation art therapy in the cognitive psychological domain. It was analyzed that the he aling elements such as 'a safe space called mandala', 'the process of contemplation', 'the face-to-face of mental images', 'attitude of acceptance and recognition', and 'transformati on and insight of perception' we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mandala medi tation art therapy. Safe spaces can be explained as conditions for distancing mindfulness, tube meditation as a process of distancing mindfulness, image images can be explained a s negative and positive belief checks, acceptance and recognition attitudes can be explain ed as perspectives on thinking, and perception shifts and insights can be explained as m odifications of beliefs and control of responses. The healing of mandala meditation art therapy leads to insights based on awareness of illegality and the acquisition of law. It is revealed that the interpretation of mandala from a metacognitive perspective is a process to establish the meaning of insights contained in mandala meditation in detail.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불교와 만다라 명상
Ⅲ. 메타인지와 심리치료
Ⅳ. 만다라 명상 미술치료
Ⅴ.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시연. (2024).만다라 명상 미술치료에 담긴 치유 요소 연구 – 메타인지적 관점에서. 한국불교상담학회 학술대회지, (), 25-50

MLA

임시연. "만다라 명상 미술치료에 담긴 치유 요소 연구 – 메타인지적 관점에서." 한국불교상담학회 학술대회지, (2024): 25-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