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친환경 에너지 시대의 비전통오일 개발 필요성 :일본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3
- 영문명
- The necessity of developing oil sands in the era of clean energy: Focus on the case of Japan and Korea
- 발행기관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 저자명
- 엄혜원 /Hye Won Um 1 , 최지은 /Jee-Eun Choi 2 , 김윤지 /Yun Ji Kim 3 , 이수연 /Su Yeon Lee 4 , 이주영 /Joo Young Lee 5
- 간행물 정보
- 『환경에너지공학』제18권 제2호, 36~51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Russian invasion of Ukraine and instability in the Middle East brought about serious concerns about the frailties of the fossil fuel age urging the shift to a more sustainable energy system. As the shortage of oil and natural gas dramatically escalated into a global energy crisis, the world cries for energy security and clean environment through the advancing technologies of the renewable energy. However, clean energy projects are facing headwinds in energy markets from cost inflation, supply chain bottlenecks and higher borrowing costs. It becomes inevitable to further develop fossil fuel-based alternatives for the energy security until the world completely transform energy systems speeding up the shift to renewable energy.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critical for Korea to secure the alternative sources of energy enriching the energy mix, and oil sands can be the stable energy source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First, the oil sands deposits exist in many parts of the world; Second, The proven reserves of bitumen contain around 100 billion barrels, which are enough to sustain the world energy demand for few decades until the complete transition to renewable energy system. Third, extraction technologies have already advanced to reduce the carbon emissions.
영문 초록
목차
1. 서 론
2. 세계 에너지 수요와 탄소 배출
3. 오일샌드 산업과 탄소 배출 현황
4. 일본과 한국의 에너지 개발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용융염원자로 발전용 초내열 Fe계 강의 고온 부식특성 평가
- 시멘트 소성로의 염소 바이패스 설비에 대한 전산유동해석
-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품질기준 마련 연구
- 배출수 재순환에 따른 디샌더 내부 유동 변화 CFD 해석
- 베트남 바이오매스 플랜트 Envelop 기둥 위치에 따른 구조해석 및 구조 안전성에 관한 연구
- 압축기 고장 유형에 따른 데이터 확인 방법 연구
- 친환경 에너지 시대의 비전통오일 개발 필요성 :일본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바이오매스 회분 촉매 열분해를 통한 폐 EPS(Expanded polystyrene)의 스티렌 모노머 전환 최적 조건 도출 연구
- 지하대공간 Envelop 설치에 따른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 국내 무연탄의 KOH활성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세척폐액의 제올라이트 합성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해양에서의 발생, 이동, 생물영향 및 관리대책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COVID-19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