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보건 작업치료의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이용수 6

영문명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A Systematic Review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정남해 장문영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0권 제2호, 111~12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정신보건 작업치료의 대상 진단군, 평가 및 중 내용과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데이터베이스 PubMed, Springer Link, Wiley Journal, Science Direct에서“occupational therapy”,“ mental health”“, mental illness”의검색어로연구를검색하였다. 분석대상연구는총13개로, 질적근거수준은Ⅰ, Ⅱ, Ⅲ, Ⅴ이었다. 결과 : 1. 정신보건 작업치료의 대상자는 치매(30.8%), 정신분열증(15.4%), 공황장애(7.7%), 우울증(7.7%)이었다. 2. 정신보건 작업치료의 내용은 환자중심중재(46.2%)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직업과 교육(23.1%), 일상생활 훈련, 신경인지훈련(15.3%), 환경조정(7.7%) 순이었다. 중재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환경조정을 제외한 환자중심중재(53.6%), 직업훈련과 교육(36.4%), 일상생활활동(30.0%), 신경인지치료 중재(66.7%)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살펴보면, 건강과 웰니스를 측정하는 평가도구가 총 19회(41.3%)로 가장 많이 실시되었고, 작업 수행이 13회(28.3%), 삶의 질이 9회(19.6%), 역할 능력이 4회(8.7%), 참여가 1회(2.1%) 실시되었다. 결론 : 본 체계적 고찰은 정신보건 작업치료의 효과에 관한 근거기반을 마련하였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진단군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중재와 효과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agnostic groups, interventions, and standardized assessments in mental health in occupational therapy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s : The systematic review was executed using PubMed, Springer Link, Wiley Journal, and Science Direct. The key words used for the search were “occupational therapy”, “mental health”, “psychiatric”, “mental illness”. Thirteen studie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levels of evidence were levels Ⅰ, Ⅱ, Ⅲ, and Ⅴ. Results : 1. The subjects suffered from dementia(30.8%), schizophrenia(15.4%), panic disorders(7.7%), and depression(7.7%). 2. The methods used were client-centered intervention(46.2%), work and education(23.1%),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training(15.3%), neurocognitive training(15.3%), and environment and context intervention(7.7%). With the exception of environment and context intervention, all intervention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mental illness of the patients. 3. The areas of standardized assessments were health & wellness(41.3%), occupational performance(28.3%), quality of life(19.6%), role competence(8.7%), and participation(2.1%). Conclusion : This systematic review provides evidence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Studies on effective intervention to facilitate community participation for various diagnostic groups have to be conducted. In addition, the effects on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should be assessed from multilateral perspectiv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남해,장문영. (2012).정신보건 작업치료의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 (2), 111-126

MLA

정남해,장문영. "정신보건 작업치료의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2(2012): 111-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