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

영문명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Stroke Patients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유두한 이재신 전병진 김수경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9권 제4호, 25~3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회귀분석 을 통해 인과관계에 따른 설명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중재방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15명 의 실험군은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과제훈련을 실시하였고, 13명의 대조군Ⅰ은 기능적 전기자극만을 실시하였으며, 11명의 대조군Ⅱ는 과제훈련만을 실시하였다. 6주 후에 분산분석을 통해 세 그룹 간에 손의 근력과 상지의 기능, 운동 활동 지표와 일상생활활동에서 평균변화량의 차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그리고 영역별 결과에서 상지기능의 향상에 대한 잠재적인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상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손의 근력과 상지 기능, 운동 활동 지표에서 세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과제훈련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에서 나타난 각 요소들은 상호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변수간의 인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모형 1에서는 근력(R2 = .17), 모형 2에서는 움직임의 질(R2 = .28), 모형 3에서는 움직임의 질과 실험군 중재법(R2 = .37)이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운동 활동 지표 중 움직임의 질과 실험군에서 실시한 중재 방법이 상지 기능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고,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해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에 대한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결론 :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과제훈련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Ⅰ,Ⅱ보다 손의 근력과 상지기능, 운동 활동 지표에서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움직임의 질과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이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하여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에 능동적이고 반복적인 과제훈련 적용이 작업치료사에 의해서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to confirm a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hirty-nine hemiplegia with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askoriented training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fifteen patients. Control groupⅠ conduct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thirteen patients and Control groupⅡ conducted task-oriented training on non-sounded upper extremity for eleven patients. Mean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in six week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s effect function of upper extremity. Results : Hand muscle strength, hand function, motor activity log were compared in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p<0.05). These factor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Hand strength and MAL, interventions were 37% of the variance for upper extremity functional recovery. QOM of MAL test and task-oriented training interventions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upper extremity function we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Conclusion :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task-oriented training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howed positive effects more than the those of control groupⅠ & Ⅱ. Voluntary and repetitive training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will be clinically useful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두한,이재신,전병진,김수경. (2011).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 (4), 25-39

MLA

유두한,이재신,전병진,김수경. "기능적 전기자극 동안의 과제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4(2011): 25-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